러시아 사업을 두고도 현대자동차그룹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 탈출’에 나선 서방 업체와 달리 현지 생산시설에 과감하게 투자해온 현대차그룹은 매몰비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적극적으로 현지 사업을 펼치다간 잘나가는 미국과 유럽에서 소비자의 눈총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동시에 나온다.8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러시아 전체 신차 판매량은 3만2412대로 전년 동월 12만9231대에서 74.9% 급감했다. 전쟁 장기화와 이에 따른 ‘러시아 혐오’(루소 포비아) 확대로 유럽계 완성차 업체들의 시장 철수가 잇따르면서다. 지난 5월 현지 자회사와 공장 지분을 러시아 정부에 모두 넘기고 떠난 프랑스 르노그룹에 이어 현지 언론은 최근 독일 폭스바겐도 칼루가 공장 매각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르노 점유율은 지난해 7월 8.7%에서 1년 만에 5.1%로, 폭스바겐(스코다 포함)은 같은 기간 11.6%에서 3.7%로 급감했다.현지 시장 2위였던 현대차·기아 점유율도 소폭 하락했다. 합계 23.6%에서 22.5%로 줄며 24.8%에서 31.8%로 치솟은 러시아 브랜드 라다(LADA)와의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 6월 현지 공장에서 러시아 내수 물량을 단 한 대 생산하는 데 그쳤지만 재고와 국내 일부 수출 물량으로 대응하고 있는 상황으로 알려졌다. 이를 틈타 중국 업체들이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는 모습이다.현대차그룹에 러시아는 쉽게 포기할 수 없는 곳이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수년간 러시아 투자를 늘리며 현지화에 속도를 냈다. 연 20만 대 규모의 기존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에 만족하지 않고 2020년 같은 도시에 있는 연 10만 대 규모의 옛 GM
대우건설(사장 백정완·왼쪽)은 지난 5일 서울 영등포구의 공군호텔에서 ‘하늘사랑 장학재단’에 장학기금 1억원을 기부했다. 하늘사랑 장학재단은 고(故) 박광수 중위(공사 29기) 부모가 28년간 모은 유족연금 1억원과 조종사 2700여 명이 자율적으로 모은 2억원을 기반으로 2010년 설립됐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이 상원을 통과하자 글로벌 자동차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IRA에 따라 전기차 보조금을 받기 위해선 내년부터 차량을 북미에서 제작하고 배터리 원료의 중국 의존도도 크게 낮춰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공급망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글로벌 자동차업계를 격랑에 빠뜨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상원은 7일(현지시간) 본회의 표결에서 찬성 51표, 반대 50표로 IRA를 통과시켰다. 하원 표결과 대통령 서명을 거쳐야 하지만 법안을 주도한 민주당이 하원 다수당인 만큼 사실상 통과가 확정적이다. 이 법안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막대한 투자와 부자 증세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관련 예산 규모는 4300억달러(약 558조원)에 달한다. 법안 내 자동차 관련 조항의 핵심은 미국 내에서 전기차를 생산해야 대당 총 7500달러(약 980만원)의 보조금을 준다는 것이다. 여기에 전기차에 장착하는 배터리와 관련해서도 까다로운 조항이 붙어 있다. 배터리에 들어가는 광물의 채굴과 제련이 내년부터 40% 이상,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80% 이상 북미(자유무역협정 체결국 포함)에서 이뤄져야 한다. 배터리에 들어가는 부품도 내년부터 50% 이상이 북미 생산품이어야 한다.IRA에 대해 “중국 주도 밸류체인에 의존하는 전기차산업을 미국 내로 이전하려는 게 주목적”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지에서 전기차를 생산하지 않는 현대자동차는 제조와 배터리 조달을 미국 중심으로 재편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문제는 법안이 내년부터 미국 내 생산을 요구하고 있지만 글로벌 업체들은 당장은 ‘탈(脫)중국’을 실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현재 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