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구광모 71억원·한화 김승연 54억원…이재용 부회장은 무보수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 스톡옵션 덕 96억 수령…삼성전자 김기남 32억원 올해 상반기 SK 계열사 경영진이 업계 최고 수준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IT 업계에서는 조수용·여민수 전 카카오 공동대표가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행사한 덕분에 300억원대 보수를 받았다. 주요 대기업 총수 중에서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100억원이 넘는 보수를 받아 1위에 올랐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무보수' 경영을 이어갔다. 16일 각사가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카카오 대표에서 물러난 조수용·여민수 전 공동 대표가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행사로 올해 상반기 전문경영인 중에 가장 많은 보수를 받았다. 조수용·여민수 전 공동 대표는 각각 361억4천700만원, 332억1천700만원을 보수로 받았다. 특히 스톡옵션 행사로 조 전 대표는 337억5천만원, 여 전 대표는 318억2천400만원을 챙겼다.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미래기술위원)도 스톡옵션 행사 덕에 올해 상반기 총 96억2천9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박 부회장은 상반기 급여와 상여를 각각 6억원씩 받았다. 또 올해 초 자신이 보유한 스톡옵션 중 9만9천600주를 행사해 84억2천600만원의 차익을 얻었다.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은 87억5천900만원 이상을 수령했다. 박 부회장은 SK하이닉스에서만 상여로 44억7천500만원, SK텔레콤에서는 상여와 스톡옵션 행사로 28억원을 각각 받았다. 또 SK스퀘어에서는 급여와 스톡옵션 행사로 14억8천400만원을 받았다. SK하이닉스와 SK텔레콤에서도 급여를 정산할 예정이다. 또 올해 3월 SK하이닉스 대표이사에서 물러나 자회사인 솔리다임 의
SK㈜서도 급여외 상여 안 받기로…"거시경제 상황 좋지 않은 점 고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그룹의 투자전문회사 SK㈜에서 올해 상반기 17억5천만원을 지급받았다. 16일 SK㈜가 발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최 회장은 대표이사 회장 급여 명목으로 이러한 액수를 받았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에서 지난해 보수를 받지 않기로 한데 이어 올해는 상여를 받지 않기로 했다. 급여는 매달 지급됐지만, 공시 대상이 아니어서 정확한 액수는 공개되지 않았다. 최 회장은 아울러 SK㈜에서도 급여 외에 상여를 받지 않기로 했다. SK㈜는 최 회장이 상여를 받지 않는 이유에 대해 "거시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시점임을 고려해 이사회 결정을 통해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의 지난해 SK하이닉스 기준연봉 25억원을 놓고 단순 계산을 해보면 올해 상반기에는 연봉의 절반인 12억5천만원을 급여로 받은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SK㈜에서 받은 급여까지 합하면 최 회장은 올해 상반기 33억원 정도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전문 경영인인 조대식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SK㈜ 사내이사)과 장동현 SK㈜ 대표이사 부회장은 각각 50억원이 넘는 보수를 수령했다. 조 의장은 급여 12억원에 상여 44억5천300만원,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1억6천700만원 등 총 58억2천만원을 상반기에 받았다. 장 부회장은 급여 10억원, 상여 40억8천200만원,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1억3천900만원 등 52억2천100만원을 보수로 지급받았다. 또 급여 5억5천만원, 상여 16억600만원, 기타 근로소득 200만원 등 21억5천800만원을 받은 이용욱 SK㈜ 머티리얼즈 사장도 최 회장보다 많은 보수를 수령했다. /연합뉴스
롯데 "지난해 성과에 대한 상여"…신세계 총수 일가 보수는 79억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올해 상반기 롯데지주와 6개 계열사에서 총 102억8천500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때 받았던 79억7천200만원과 비교해 20억원 이상 늘어난 수치로, 롯데지주에서는 지난해 한 해 동안 받았던 보수(35억170만원)보다 더 많은 금액을 수령했다. 16일 이들 기업이 공시한 반기보고서를 종합하면 신 회장은 상반기 롯데지주에서 42억4천900만원을 받았다. 급여는 19억1천500만원, 상여는 23억3천300만원이었다. 롯데쇼핑에서는 9억4천500만원, 롯데케미칼에서는 19억1천500만원을 받았다. 또 호텔롯데에서 10억6천100만원, 롯데제과에서 10억2천500만원, 롯데칠성음료와 롯데물산에서 각각 5억4천500만원을 받았다. 롯데그룹은 이와 관련해 "지난해 성과에 대한 롯데지주의 상여가 올해 초 지급돼 총 보수가 늘었다"며 "롯데지주 상여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회사 실적 개선을 이끌고 재무 구조를 개선했으며 신사업 추진으로 그룹의 중장기 미래가치를 창출한 부분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신세계 총수 일가는 상반기에 총 79억3천500만원을 받았다.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은 신세계에서 7억2천100만원, 이마트에서 15억3천300만원 등 총 22억5천400만원을 받았다. 이 회장의 남편인 정재은 신세계그룹 명예회장도 두 회사로부터 같은 금액의 보수를 받았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이마트에서 17억3천900만원,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은 신세계에서 16억8천800만원을 각각 받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