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2위의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우리사주를 배정받은 이 회사 임직원 사이에서 '상장 대박'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임직원들은 1인당 우리사주 600여주에서 1천400여주를 배정받았다.
현행법에 따르면 기업이 상장하면 발생 신주의 20%는 우리사주에 우선 배정해야 한다.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전체 공모 물량 4천250만주 가운데 850만 주가 우리사주 분량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전체 임직원 수는 9천여명으로, 전체 물량 중 일부는 직원들에게 균등 배분되고 나머지 물량은 근속연수나 직급 등에 따라 차등 배정됐다.
LG에너지솔루션의 공모가 희망 범위는 25만7천∼30만원으로, 우리사주조합 배정 주식의 총액은 2조1천1845억원에서 2조5천500억원에 달한다.
우리사주 청약률은 90%를 웃도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약금 납입은 오는 14일까지이며, 실제 청약은 18일에 진행된다.
직원들은 주식담보대출을 받는 등 청약금 마련에 분주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직원은 "기본 배정 물량에다 실권주도 청약해 청약금이 4억원이 넘는다"면서 "그동안 모아둔 돈에다가 대출을 받아 청약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상장 후 '따상'(상장 첫날 시초가가 공모가의 두 배에 형성된 뒤 상한가를 기록하는 것)에 성공하면 우리사주를 배정받은 직원들은 많게는 수억원의 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된다.
즉, LG에너지솔루션이 상장 전 수요예측 흥행에 성공해 공모가가 희망 범위 최상단인 30만원으로 정해지고, 시초가의 두 배에다 상한가까지 가면 주가는 78만원이 된다.
만약 1천주를 받았다면 4억8천만원의 수익을 손에 쥐게 되는 셈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이 6천600만원(증권신고서 기준)인 점을 고려하면 이는 연봉의 7배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다만 우리사주는 상장 후 1년간 팔 수 없어 직원들에게는 1년 뒤 주가 흐름이 더 중요하다.
증권가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이 상장 이후에도 주가 상승 여력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강송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작년 상장한 SK바이오사이언스, SK아이이테크놀로지, 카카오뱅크, 현대중공업, 카카오페이 등 대형 IPO 종목은 상장 직후 공모가 대비 큰 폭의 주가 상승을 기록했다"며 "LG에너지솔루션 공모에 대한 시장 관심도 높아질 전망"이라고 관측했다.
LG에너지솔루션 권영수 부회장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업계 1위인) 중국 CATL과 LG에너지솔루션 간의 시가총액 차이가 현재 이해되지 않는 수준"이라며 "(상장 이후) 시가총액 갭은 당연히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예상 시가 총액이 이미 70조원에 달하는 만큼 추가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부터 이틀간 기관 수요 예측을 거쳐 공모가를 산정한 뒤 오는 27일 코스피에 상장할 예정이다.
이노스페이스, 발사체 엔진 검증 성공…"소형위성 시장 본격 진출 목표" 국내에서도 민간 주도 우주 개발을 뜻하는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가 열렸다. 우주 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는 브라질 현지시간으로 20일 국내 처음으로 독자 개발한 엔진 검증용 시험 발사체를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실제 소형 위성 발사에 사용할 비행모델을 검증하는 단계가 남아있긴 하지만, 일단 발사체를 제작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검증해야 하는 가장 큰 기술 난관은 넘었다고 볼 수 있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이사는 "2017년 9월 설립 후, 5년여 만에 '한빛-TLV' 첫 시험발사 성공이라는 성과를 이루어 냈다"며 "민간 스타트업으로 제한된 인원과 예산 내에서, 순수 독자 기술로 로켓을 개발하기까지 난관이 많았지만, 임직원과 협력사의 노고와 지원으로 짧은 시간 내 (개발이) 가능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시험 발사 성공은 국내 민간 부문의 기술력으로도 우주 발사체를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노스페이스가 이날 발사한 한빛-TLV는 회사가 독자 개발한 하이브리드 엔진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제작된 시험발사체다. 이 회사가 개발한 하이브리드 엔진은 고체 연료와 액체 산화제를 이용해 고체연료 발사체의 장점인 구조 단순화와 액체연료 발사체의 장점인 추력 조절이 가능한 이점을 융합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고체연료는 파라핀 소재를 사용했는데, 이는 기존 하이브리드 발사체용 고체연료와 비교해 연소속도가 빠르고 추진 기관의 추력 성능이 한층 좋은 데다 폭발 위험도 없다고 이노스페이스는 설명했다. 산화제에 쓰이는 전기모터 펌프는 발사체에 주로 쓰이는 터보펌프
이노스페이스 한빛-TLV 브라질서 발사후 106초간 엔진 연소·탑재체 정상 동작"상업발사 가능 엔진 독자기술 확보…2024년 소형위성발사체 '한빛-나노' 상업발사" 국내 우주 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는 독자 개발한 엔진 검증용 시험 발사체 '한빛-TLV'가 성공적으로 발사돼 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로써 이노스페이스는 소형 위성을 수송하는 발사체를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했다. 이노스페이스에 따르면 국내 첫 민간 발사체인 한빛-TLV는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에서 현지시간 19일 오후 2시 52분(한국시간 20일 오전 2시 52분)에 발사돼 106초간 엔진이 연소한 뒤, 4분 33초 동안 정상 비행 후 브라질 해상 안전 설정 구역 내에 정상 낙하했다. 당초 목표로 한 엔진 연소시간인 118초 대비 12초 적었으나, 비행 중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결과 비행 상황에서 엔진이 정상 작동하고 추력 안정성을 유지한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고 이노스페이스는 설명했다. 이노스페이스는 비행 중 계측된 연소실 압력, 전기펌프 출력, 제어계통 구동, 비행 궤적 및 자세 등 비행 성능 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 이날 한빛-TLV가 싣고 올라간 브라질 공군 산하 항공과학기술부(DCTA)의 관성항법시스템 '시스나브(SISNAV)'도 비행 환경 운용 성능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확보해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노스페이스는 이번 발사를 통해 상업 발사 서비스가 가능한 수준의 엔진 독자 기술을 보유한 국내 첫 민간 우주발사체 기업이 됐다고 자평했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이사는 "한빛-TLV' 시험발사 성공은 독자적으로 로켓 개발이 가능한 기술 역량을 확보함과 동시에, 세계 우주 발사 서비스 시장
국내 우주 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는 독자 개발한 엔진 검증용 시험 발사체 '한빛-TLV'가 성공적으로 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노스페이스에 따르면 국내 첫 민간 발사체인 한빛-TLV는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에서 현지시간 19일 오후 2시 52분(한국시간 20일 오전 2시 52분)에 발사돼 106초간 엔진이 연소한 뒤, 4분 33초 동안 정상 비행 후 브라질 해상 안전 설정 구역 내에 정상 낙하했다. 당초 목표로 한 엔진 연소시간인 118초 대비 12초 적었으나, 비행 중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결과 비행 상황에서 엔진이 정상 작동하고 추력 안정성을 유지한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고 이노스페이스는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