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정부 주도…민관 협력 시작했지만 제도적 한계 지적도
[위클리 스마트] 불붙은 '우주관광' 전쟁…한국선 머나먼 이야기
이달 11일(현지시간) 영국의 억만장자 리처드 브랜슨 버진그룹 회장이 우주비행선을 타고 '준궤도 여행'(우주의 경계까지 다녀오는 여행)에 성공한 것을 계기로 우주 관광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이사회 의장도 자신이 설립한 우주 탐사 기업 블루 오리진의 '뉴 셰퍼드' 로켓을 타고 이달 20일 우주 시범 비행에 나서기로 하면서 우주 관광을 둘러싼 글로벌 전쟁이 본격적으로 불붙는 양상이다.

부를 과시하기 위해 억만장자들이 펼치는 이벤트에 불과하다는 시각도 있지만, 미지의 세계에 가려는 인류의 오랜 욕망을 고려하면 예상보다 일찍 우주 관광 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전세계 우주 산업의 주도권이 국가에서 민간으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여전히 정부 주체 사업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우주 산업 연구와 기술 개발이 발사체, 인공위성 등으로 협소하게 설정된 것도 '국익'의 관점에서 우주 산업을 바라보는 시각과 무관치 않다.

[위클리 스마트] 불붙은 '우주관광' 전쟁…한국선 머나먼 이야기
국가 주도의 우주 사업 한계를 인식한 우리나라는 이제 막 민관 협력 우주 개발을 시작한 상황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쎄트랙아이 등 위성개발 능력을 보유한 기업들도 대부분 정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우주 사업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우주 산업 민관 협력 모델은 제도적 한계가 분명하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안형준 연구위원은 최근 발간한 '뉴스페이스시대, 우주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민관 협력 확대 방안' 보고서를 통해 "민관협력방식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기관이 되고 기업은 주로 용역 계약 형태로 추진된다"며 "민간 기업의 기술 혁신과 개발 역량을 축적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체계 사업의 설계와 조립 역량은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다"면서도 "우주산업 핵심 부품의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사업은 부품 국산화율 목표가 97%에 달해 국내 기업의 상업적 경쟁력을 낮추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위클리 스마트] 불붙은 '우주관광' 전쟁…한국선 머나먼 이야기
틀에 갇힌 민관 협력 모델을 개선하려면 기업을 정책 수혜의 대상이 아니라 일종의 '투자 파트너'로 바라보는 자세를 갖는 것이 시급하다.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과 함께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민간여행객 4명을 올려보내는 '인스피레이션4'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우주 관광을 비롯한 민간 우주 산업 수요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기존의 선입견을 벗어나는 작업도 필요하다.

미국의 투자은행 코웬이 지난해 추산한 준궤도 여행의 잠재 수요층은 약 240만명에 달한다.

베이조스와 머스크의 우주 관광 프로젝트까지 성공했다는 소식이 들려오면 기꺼이 우주 여행객이 되려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