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가 다시 막다른 골목에 들어섰다.

대규모 적자가 이어지며 존속 능력이 의문스러운 상태다.

쌍용차 1분기 분기보고서는 감사의견이 거절됐다.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2009년 이후 10여년 만에 처음이다.

1분기 영업손실 978억원, 순손실 1천935억원이 발생했고 유동부채가 유동자산보다 5천767억원 초과하는 점 등이 배경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덮치면서 대주주 마힌드라마저 손을 들어 버렸다.

마힌드라는 3년 후 흑자전환 목표를 내걸고 2천300억원 투자 계획을 제시했다가 철회하고 긴급 자금 400억원만 지원키로 했다.

마힌드라에서 200억원은 들어왔고 나머지는 이번 주에 입금될 것으로 알려졌다.

마힌드라는 3년 만기, 이자율 3% 차입금 형태로 지원했다.

쌍용차 관계자는 "인도 격리조치가 해제되고 나면 협의를 해서 자본금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주주가 발을 빼고 난 뒤 쌍용차가 기댈 곳은 이르면 이달 말 가동하는 정부의 기간산업안정기금이다.

2천억원 지원을 받으면 당장 숨통은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기금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일자리 지키기'를 강조하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산물이라는 점에 쌍용차는 기대를 걸고 있다.

문제는 쌍용차가 법적으로 기금 지원 대상에 포함되기가 어중간한 상태라는 점이다.

정부는 자동차를 포함한 7대 기간산업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나 해운, 항공을 우선 지원 업종으로 정했다.

40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기금이 코로나19 사태로 일시적으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쌍용차가 지원 기준에 미달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다.

쌍용차의 경영난이 코로나19 때문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 오래된 문제라는 것이다.

쌍용차는 자동차 판매 부진 등으로 13분기 연속 적자를 냈다.

쌍용차는 산업은행의 지원도 바라고 있으나 쉽지는 않아 보인다.

채권단 관계자는 "쌍용차에서 도와달라고 요청이 들어오지도 않았고 7월 산은 만기 물량도 임박해서 얘기할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7월 6일과 19일 만기인 물량은 각각 700억원과 200억원이다.

대주주인 마힌드라가 투자 계획을 철회한 마당에 쌍용차를 지원할 명분이 더욱 없어졌다는 분위기도 산은 내부에 흐르고 있다.

정부로서도 지원을 해도 언 발에 오줌누기에 그칠 가능성이 크고 사업 지속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점이 고민이다.

쌍용차 경영정상화를 위한 노·사·민·정 특별 협의체 관계자는 "수천 명 일자리를 일순간에 없애는 것은 부담이고 그렇다고 일시적 자금 지원을 하자니 기업이 회생할 가능성이 있냐는 질문이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지원하면서 고정비, 인건비 등 비용을 현재 회사규모에 맞도록 축소하라는 조건을 붙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막다른 골목 쌍용차…대주주는 손들고 정부 지원도 불투명
이런 가운데 쌍용차는 자구책을 추진하는 한편 희망적인 미래를 그리고 있다.

쌍용차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구로정비사업소, 인재개발원, 물류센터 등 자산 매각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로정비사업소는 요지에 위치하고 있어서 매각가가 1천억원대에 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서울에 정비사업소가 필요하므로 매각 후 재임대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쌍용차는 또 올해 하반기 G4렉스턴 부분변경 모델과 티볼리 에어 재출시로 판매를 늘릴 계획을 밝히고 있다.

내년 초에는 국내 첫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전기차가 나온다.

그러나 코로나19 경제충격이 쉽사리 완화되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큰 가운데 국내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시장 경쟁도 치열하다 보니 이런 포부가 큰 설득력을 얻지는 못하는 듯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