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자녀 기혼 여성 비율, 1980년생은 12.9%…1970년생은 4.8%
통계개발원, 저출산 배경 분석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하락하고 있는 한국의 출산율 배경에는 비혼과 무자녀 가구가 늘어나는 현상이 자리 잡고 있다는 통계 분석이 나왔다.

작년 기준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상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92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다.

'만40까지 비혼' 여성 비율, 1974년생은 12.1%…1944년생은 1.2%
30일 우해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과 박시내 통계개발원 경제사회통계연구실 사무관은 통계개발원의 계간지인 KOSTAT 통계플러스에 이러한 내용의 보고서를 게재했다.

우 위원이 통계청의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20% 표본자료를 분석한 결과, 1974년생 여성 중 만 40세 때까지 결혼을 하지 않은 비율은 12.07%로 나타났다.

그는 이 나이까지 초혼 경험이 없는 여성을 '생애 비혼'이라고 정의했다.

1944년생 여성이 40세 때까지 초혼 경험이 없는 비율은 1.2%에 불과했다.

30년 사이에 비혼 비율이 10배 이상 뛴 셈이다.

우 위원은 2012∼2014년 혼인 이행 패턴이 앞으로도 지속한다면 40세 기준 '생애 비혼' 인구의 비율은 앞으로 18∼19%까지 높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그는 "보편혼 규범이 지배적이었던 한국 사회에서 저출산 현상과 맞물려 혼인 이행 과정에서도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시내 사무관은 결혼했더라도 아이를 낳지 않는 무자녀 가구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1980년생 기혼 여성의 무자녀 비중은 12.9%였다.

1920∼1960년생 2.0∼3.0%, 1970년생 4.8%와 비교하면 역시 가파르게 늘어났다.

박 사무관은 무자녀 비중이 상승하는 이유와 관련해 "출산에 따른 기회비용과 경력단절 등 경제적 원인, 전통적 성 역할과 가족주의 가치관 붕괴 등으로 출산을 필수가 아닌 개인의 선택으로 여기는 가구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무자녀 기혼여성의 향후 자녀 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나 경제적 요인보다는 자녀의 필요성과 부모 역할 등 가족 가치관 요인이 더 컸다"며 "취업자인 여성이 비취업자보다 향후 출산 의향이 더 높은 점은 일·가정 양립 문화의 정착으로 출산율을 높일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