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출발 2020 다시 뛰는 기업들] 해운, 해운동맹·규제 선제대응으로 재도약 기회
정부가 해운업계 구조조정에 나섰지만 아직도 유동성 위기가 가시지 않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삼정 KPMG는 작년 7월 보고서를 통해 국내 100대 해운사의 27% 이상이 부채비율 400%를 웃돌고 있다고 분석했다. 통상적으로 부채비율이 200%를 넘으면 잠재위험이 높다고 평가받고, 300%를 넘으면 금융비용이 순이익보다 많은 수준이다. 부채비율 400% 이상 기업은 고위험 기업으로 분류된다. 금융권을 통한 자금 차입이나 회사채 발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다만 환경규제가 새로 시행되는 등 업계 변동이 예고돼 있어 이를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작년부터 모든 선박이 평형수 처리 장치를 장착하도록 의무화했다. 올해 1월 1일부터는 황산화물(SOx) 배출 규제에 들어갔다. 황산화물 함유율 기준이 기존 3.5%에서 0.5%로 강화됐다. 이 기준을 맞추지 못한 선박은 IMO 회원국 항구에 입항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해운사들은 저유황유를 쓰거나 선박에 스크러버(배기가스 저감장치)를 설치해야 운항할 수 있다. 스크러버는 대형 선박에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선박을 해체한 뒤 LNG선을 발주하거나, 대형 선박을 운항하는 식으로 업계가 재편되고 있다.

현대상선은 국내 선사 중 가장 공격적으로 스크러버를 설치하고 있다. 기존 보유한 사선 선대 22척 중 17척에 스크러버를 설치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인도받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20척에도 모두 스크러버가 탑재된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