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경DB
사진=한경DB
차기 IBK기업은행장으로 윤종원 전 청와대 경제수석(사진)이 급부상하고 있다. 윤 전 수석은 금융업계를 관리·감독하는 은성수 금융위원장과 서울대 경제학과 80학번 동창이자 행정고시 27기 동기다. 최근에는 금융위원장, 수출입은행장 최종 후보에 오르며 청와대 인사 검증도 마쳤다.

다만 1만4000명의 기업은행을 이끌 인성과 소통·경영 능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어 임명 절차가 쉽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행 노조는 "또 다른 낙하산일 뿐"이라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30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청와대는 차기 기업은행장으로 윤 전 수석을 내정하고 임명 시점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반장식 전 청와대 일자리수석비서관을 임명할 계획이었지만 '금융 경력이 전무하다'라는 비판에 윤 전 수석으로 선회한 것이다.

윤 전 수석 역시 금융 분야 전문성이 없다. 과거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으로 근무한 경력을 제외하면 은행업 경력이 전무하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국제통화기금(IMF) 상임 이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를 역임한 거시경제 전문가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은행을 글로벌 은행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거시경제 전문가인 윤 전 수석의 능력이 필요하다는 논리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점도 청와대가 윤 전 수석을 추진하는 이유다. 윤 전 수석이 기업은행을 이끌 경우 정부의 혁신성장, 포용성장 등은 힘을 받게 된다. 기업은행 전체 대출의 78%(지난 3분기 기준)가 중소기업에 해당하는 만큼 정부의 포용성장은 날개를 달 수 있다.

임명 절차는 순조롭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은행업 경력이 전무한 만큼 '낙하산 인사'라는 반발은 여전하다. 인성과 소통 능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는 통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업은행 문화와 맞지 않다.

한편 청와대가 차기 행장 후보로 내부 출신도 검토하고 있지만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반적인 평가다. 내부 인사로 행장 대행 업무를 맡고 있는 임상현 기업은행 수석부행장(전무)이 거론되지만 청와대의 인사 검증은 여전히 진행되지 않고 있는 상태다.

김형선 기업은행 노조위원장은 "청와대가 은행 내부 출신을 임명할 계획이었다면 대행 체제로 넘어가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청와대의 깜깜이 행장 임명은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 인사 적폐, 관치금융은 사라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