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김해시 주촌면 김해산업단지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 시설.  /에너지공단 제공
경남 김해시 주촌면 김해산업단지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 시설. /에너지공단 제공
태양광발전소가 자연 훼손 등의 이유로 사회적 갈등을 키우면서 도시의 놀고 있는 땅을 활용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정부는 쓰지 않는 철도, 산업단지 지붕 등 유휴 부지에 2022년까지 총 5.7GW 규모의 태양광 설비를 보급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5.7GW는 원전 4기 용량(약 5.6GW)과 맞먹는 규모다.

현재 태양광 시설은 주로 산지와 농지 설치 비중이 높은데 지역 주민의 반발로 행정소송 등 법적 분쟁이 속출하고 있다. 도시 유휴 부지는 사회적 갈등을 일으킬 우려가 거의 없어 태양광 발전의 ‘블루오션’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정부는 특히 전국 곳곳에 있는 국가산업단지를 최적의 장소로 꼽고 있다. 산업단지 시설 지붕만 잘 활용해도 3.2GW 규모의 태양광을 보급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산업부는 지난 7월 경남 김해, 광주 등의 3개 단지에 7㎿ 규모 태양광을 보급하는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내년 이후 서울 디지털산업단지 등 38곳과 새로 조성하는 산업단지 7곳에도 태양광을 확산시켜 2022년까지 3.2GW 설비 조성 목표를 채운다. 사업 추진 방식에선 산업단지에 입주한 중소기업이 협동조합을 구성해 태양광에 직접 투자하고 수익을 나눠 갖는 모델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국가가 소유한 부지도 적극 활용한다. 대상은 경찰서, 소방서, 우체국, 공항과 철도 등의 지붕과 남는 공간이다. 정부는 이런 공간을 활용하면 0.8GW 규모의 태양광 시설을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