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과 아시아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고령화 폭탄’을 안고 신음하고 있다.

유럽연합(EU) 통계청인 유로스타트에 따르면 지난해 EU 28개 회원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약 1억 명으로 전체 유럽 인구의 19.4%를 차지했다. EU 회원국 국민 다섯 명 가운데 한 명꼴로 노인인 셈이다. 15~64세인 경제활동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은 29.9%였다. 경제활동인구 세 명이 한 명의 노인을 책임져야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OECD 국가의 65세 이상 노인 비율은 30%에 달한다. 1975년 20%에서 크게 늘었다. 2050년엔 50%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OECD 평균 기대수명은 80.8세로 늘었지만 100년 이상 굳어진 연금 수령 연령을 조정하는 것엔 국민적 거부와 저항이 거세다. 노인 연령 65세는 1889년 독일의 비스마르크가 세계 최초로 노령연금을 도입하면서 적용한 연금 수령 연령이다. 당시 독일의 평균 수명은 49세였다.

연금 수급 연령을 조금이라도 바꾸려는 시도조차 거센 반발에 부딪히고 있다고 포브스는 전했다. 지난해 스위스 정부는 여성의 정년을 64세에서 65세로 늘리는 개혁안을 추진했지만 투표자 52.7%의 반대로 무산됐다.

아시아 국가에서도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중국은 1999년 이미 고령화 사회(60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10% 이상)에 진입했다. 지난해 말 기준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2억40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7.3%에 달했고, 2050년엔 34.9%로 늘어날 전망이다.

중국의 정년은 국가 법정기업의 경우 남자 60세, 여자 50세(임원 55세)로 돼 있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중국의 연금 부족분은 2050년 119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세계경제포럼(WEF)은 전망했다.

추가영 기자 gyc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