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상품군별로 DSR한도 나누고 차주 회사 업황도 고려할 듯

금융당국이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모든 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 규제를 강화하면서 시중은행들이 대책 마련에 몰두하고 있다.

시중은행은 15%로 설정된 고(高)DSR 한도를 어떻게 배분할지를 두고 머리를 싸매고 있다.

한도를 초과할 경우 대출을 전면 중단하는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은행, DSR 실시간 모니터링…"한도 넘으면 대출중단 가능성도"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각 은행은 금융당국이 제시한 기준선을 맞추기 위한 DSR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당국은 DSR 70% 초과대출을 위험대출, 즉 고DSR로 규정하고, 시중은행의 경우 전체 대출 가운데 15% 이내로 맞추도록 했다.

현재 시중은행의 고DSR 대출 비중은 19.6%로, 각 은행은 당장 이달 말 시행일에 맞춰 신규 대출 중 고DSR 비율을 4.6%포인트 떨어뜨릴 전략을 짜내야 한다.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DSR 비율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전까지는 일정기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던 DSR 비율을 앞으로는 실시간에 가깝게 확인·관리하겠다는 것이다.

고DSR 대출을 취급할 때 단순히 선착순으로 자르는 것이 아니므로 어떤 고객층에 얼마나 대출을 내줘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도 깊다.

각 시중은행 실무 담당자는 19일 은행연합회에 모여 이번 DSR 규제와 관련한 후속 대책을 논의했다.
은행, DSR 실시간 모니터링…"한도 넘으면 대출중단 가능성도"
한 시중은행은 고객군과 상품군에 따라 고DSR 비율을 일정량 할당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고객이나 상품 특성에 따라 취급할 수 있는 고DSR 한도를 세분화해두고 이에 맞춰 대출을 실행하겠다는 의미다.

또 다른 은행은 차주 직장의 안정성까지 고려사항에 넣을 요량이다.

공무원이나 대기업 회사원의 경우 소득이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중소기업 또는 구조조정 가능성이 있는 업종 종사자의 경우 상황에 따라 소득이 확 줄어들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은행은 이를 DSR 급변동 요인으로 본다.

이 같은 관리에도 고DSR 대출 비중이 15%를 넘게 되면 대출을 아예 중단하는 사태까지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 대형 시중은행 관계자는 "한도를 모니터링하면서 이를 넘기면 고DSR 대출을 전면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또 예금담보부대출이 DSR 비율 산정에 포함되면서 은행들의 셈법이 더 복잡해졌다.

전세보증금담보대출이나 예금담보부대출도 DSR 계산 때 포함하면 은행 입장에서는 선호하는 상환 여력이 있는 자산가에게 대출을 내주는 것이 까다로워진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예금담보대출의 목적이 예금 중도해지를 하지 않고 돈을 빌리기 위한 것"이라며 "DSR에 넣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