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디스플레이는 10%대로 추락 "신성장 동력 확보 시급"

삼성전자가 생산하는 4대 제품 가운데 반도체를 제외하고는 모두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몇 년째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업체들의 거센 도전으로 앞으로 이런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해 반도체 경기가 꺾일 경우 실적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올 1분기 삼성전자의 소비자가전(CE) 사업부문 주요 제품인 TV의 시장 점유율은 20.1%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21.4%)에 비해 1.3%포인트나 떨어졌다.

TV 점유율은 2012년 이후 작년까지 6년 연속 20%대를 기록했지만 연초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올해는 7년 만에 10%대로 떨어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지난해 출시한 QLED TV 등 초대형·초고화질의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올해까지 '13년 연속 글로벌 TV 시장 1위'의 아성을 지키겠다는 전략을 내놓고 마케팅을 대폭 강화할 태세이나 경쟁 격화로 점유율 하락은 불가피하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IT·모바일(IM) 사업부문의 주요 제품인 휴대전화는 상황이 더 심각하다.

올 1분기 점유율이 18.9%로, 1년 전(21.4%)보다 2.5%포인트 급락했다.

글로벌 선두 자리는 지켰지만 5년 전인 2013년 1분기(28.6%)와 비교하면 무려 10%포인트 가까이 떨어진 셈으로, 이런 추세라면 올해까지 3년 연속 10%대 점유율 가능성이 크다.

세계 최대 규모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현지 업체와 애플 아이폰에 밀려 0%대의 점유율에 그치고 있는데다 '2위 인구 대국' 인도에서마저 중국 샤오미에 밀려 2위로 내려앉는 등 여건은 점점 나빠지는 흐름이다.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사업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주요 품목 가운데 점유율 추락 속도가 가장 빠르다.

2015년까지 20%를 웃돌았으나 2016년 17.1%, 지난해 14.8%로 떨어지더니 올해 1분기에는 작년 같은 기간(15.0%)보다 1.8%포인트 하락한 13.2%로 주저앉았다.

주력 반도체 제품인 D램은 올해 들어서도 40%대 중반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지만 결코 안심할 수 없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압도적인 기술 격차를 바탕으로 올해 1분기 시장 점유율은 무려 44.9%에 달해 작년 같은 기간(44.8%)과 거의 같았다.

다만 중국이 대규모 반도체 산업 투자와 통상 압박 등을 통해 숨통을 죄어오면서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이밖에 지난해 인수한 미국의 전장 전문업체 하만도 올해 1분기 21.9%의 점유율에 그쳐 지난해 전체 점유율(25.4%)에 크게 못 미쳤다.

전문가들은 삼성전자가 최근 몇 년간 아성을 구축했던 4대 제품의 경우 최근 모두 글로벌 경쟁이 격화하는 부문이어서 과거와 같은 압도적인 점유율을 회복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재용 부회장이 최근 인공지능(AI)과 같은 새로운 미래 먹거리 발굴에 나서는 것도 이런 현실 인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면서 "반도체 경기가 꺾이기 전에 신성장 동력 확보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실적도 위기"… 삼성 4대 제품 중 반도체 제외 점유율 급락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