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강경메시지 발신…"한반도 긴장완화가 협력분위기 조성 도울 수도"
미중 무역대화 '기싸움'… 美 매파대표단에 中 흑자 축소 거부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 등 미국 경제·통상 대표단의 방중 협상을 앞두고 미국과 중국이 서로 강경 메시지를 내비치며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미국이 대(對) 중국 강경파들로 구성된 대표단 명단을 발표하며 선제적으로 중국을 압박하자 중국은 의제 설정에서 미국의 대중국 공세를 차단하며 강하게 맞서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대표단의 3∼4일 방중 협상으로 미중 통상갈등이 전면적으로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회의가 팽배하다.

하지만 극적인 협상 타결로 통상마찰이 점차 가라앉는 길로 접어들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없지 않다.

최근 공개된 미국 대표단 명단에는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정책국장,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에버렛 아이젠스탯 NEC 부위원장 등 매파 인사들이 즐비하다.

므누신 장관과 윌버 로스 상무장관, 테리 브랜스테드 주중 미국 대사 등 상대적으로 중국에 유화적 입장을 비쳐온 인사들도대표단에 포함돼 있지만 이번 협상은 강경파들이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홍콩 성도(星島)일보는 "대표단에 미국 경제 콘트롤타워가 총출동했다"고 평가하며 "미국 협상대표단을 강경파가 주도하게 되면서 협상 과정이 쉽지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고 2일 전했다.

특히 대표단의 방문에 앞서 사전에 실무단을 파견해 예비협의를 벌이는 과정이 이번에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대표단은 이미 강경한 태세를 내비치고 있다.

미국의 관심사를 거듭 강조하며 중국의 과감한 구조개혁과 신속한 행동 조치를 압박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일 트위터에 대표단의 방중 사실을 알리며 대중 무역적자와 관련, "북한 문제와 마찬가지로 지금이 아니라 수년 전에 고쳤어야 했다"면서 "모든 것이 해결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피력했다.

므누신 장관 역시 방중에 앞서 "중국 관리들과 무역 불균형, 지적 재산권, 합작 기술 투자 등을 매우 솔직하게 논의할 것"이라며 이번 대화에 '신중한 낙관' 입장을 내비쳤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나 므누신 장관의 언급처럼 협상이 쉽게 타결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경제 책사인 류허(劉鶴) 부총리, 중산(鐘山) 상무부장, 류쿤(劉昆) 재정부장, 추이톈카이(崔天凱) 주미 중국대사 등으로 대표단을 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상의 배후 총책임자는 사실상의 2인자로 꼽히는 왕치산(王岐山) 국가부주석일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관련, 뉴욕타임스(NYT)는 중국이 이번 협상 의제를 둘러싼 협의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요구사항 2가지를 거부했다고 보도하며 미국의 압박에 밀리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보냈다고 전했다.

중국은 ▲연간 3천750억 달러인 중국의 대미(對美) 무역흑자를 1천억 달러 감축하고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전기차 등 첨단산업 육성책을 억제하라는 미국의 양대 요구사항에서 물러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타임스는 "중국은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에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이라며 "충분한 규모의 자체 경제를 확보하고 있고, 미국의 압박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는 자신감이 깔렸다"고 설명했다.

이번 협상에 앞서 중국의 고위관료 6명과 전문가 24명은 최근 3일간 칭화(淸華)대에서 열린 연구토론회에서 중국의 대응 전략을 확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전문가들은 미국이 갈등을 격화시켜 합의를 촉진하는 이전촉담(以戰促談) 전술을 구사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왕쥔(王軍) 중위안(中原)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양측이 협상전 고압적인 메시지를 보내는 정상적인 심리전술"이라며 "협상이 실제 시작되면 여지를 남기고 실질적 성과를 얻으려 할 것"이라고 전했다.

최근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체제 논의의 급진전이 미중 무역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자오시쥔(趙錫軍) 중국 인민대 재정금융학원 부원장은 "한반도 정세의 긴장완화가 미중간 경제무역의 협력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유리할 수 있지만 미국이 이를 대북제재 강화의 효과로 판단하고 중국에 대해서도 비슷한 태도로 압력을 넣어 미국이 바라는 결과를 얻어내려 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