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200척 발주는 긍정적"…조선산업 발전전략 반응

조선업계는 정부가 5일 발표한 '조선산업 발전전략' 가운데 국내 발주 확대 등은 환영하지만, 연평균 3천명 신규 채용을 포함한 고용 목표나 장밋빛 업황 전망 등은 현실과 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날 발전전략을 통해 "시황 회복을 고려, 대형 3사의 신규 채용을 불황 전 수준까지 회복하겠다"며 '2018~2022년 연평균 3천명 채용'을 목표로 내걸었다.

그러나 이런 목표를 접한 조선업체 실무진들은 대부분 "비현실적"이라는 반응이다.

대형 조선사 관계자는 "2007년 업황이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 한해 최대 400명을 뽑은 적이 있다"며 "빅3(대형 3사)가 한 해 3천명의 신규 직원을 뽑으려면 그 이상을 채용해야 하는데, 현재 업황과 국내 조선사의 수주·생산 능력을 고려할 때 도저히 불가능한 숫자"라고 말했다.

다른 대형 조선사 관계자도 "이미 다른 업체는 최근 희망퇴직에 들어갔고, 우리도 일감 부족이 지속되면 선제적으로 희망퇴직을 다시 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연 3천명 신규 채용 목표는 어떤 근거로 계산된 것인지 모르겠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앞서 지난 3일 현대중공업은 16일부터 29일까지 근속 10년 이상 사무직과 생산기술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일감 절벽'에 경영난이 심해지자 2년 만에 다시 희망퇴직 카드를 꺼낸 것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6년 과장급 이상 사무직과 기장 이상 생산기술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했고, 2015년에도 과장급 이상 사무직과 여직원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한 바 있다.

당시 총 3천500여 명이 희망퇴직했다.

대우조선해양도 2014년 말 1만3천602명에 이르던 인력을 구조조정을 거쳐 지난해 현재 1만226명까지, 3천명 이상 줄였다.

업계 관계자는 "눈물을 머금고 희망퇴직 등으로 인력과 몸집을 줄여 흑자 구조를 겨우 만들어가고 있는데, 시황이 바닥에서 조금 회복될 기미를 보인다고 연 3천 명을 신규 채용한다는 것은 앞뒤가 안 맞는다"고 지적했다.

조선업황에 대한 정부의 시각 역시 너무 낙관적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발전전략에서 "2017년 이후 시황 회복 중이나, 여전히 발주량은 부족하고 회복세는 완만하다.

2022년께 과거(2011~2015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며 "추가 구조조정과 함께 시황 회복기를 대비하는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황 회복기 대비 방안의 하나가 '연평균 3천 명 채용'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최근 몇 개월 발주 증가 추세만을 근거로 2022년께 과거 '호황기' 수준까지 업황이 회복되리라고 확신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업황이 기대 수준까지 좋아진다고 해도 이미 앞서 구조조정을 거친 중국·일본 등과의 경쟁에서 한국이 예전과 같은 비중으로 일감을 따낼 가능성은 거의 '0'에 가깝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금융 지원 등 보다 실질적 지원 방안이 부족하다는 쓴소리도 있다.

대형 조선사 관계자는 "중국의 경우 정부나 금융권이 나서서 해외 선사들에게 선박 건조에 필요한 재원 80~90% 빌려주고, 이 일감을 자국 조선소에 맡기로 영업을 할 정도"라며 "우리나라에 그 정도를 바라지는 않지만, 금융 지원 확대나 규제 개선으로 해외선사 수주를 늘릴 핵심 방안이 빠져있다"고 말했다.

다만 국내 선사들의 발주를 늘리는 방안은 일감 부족에 허덕이는 조선업계에 적지 않은 '단비'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정부 전략에 따르면 국내 선사는 2018~2020년 대형 컨테이너선 20척을 포함해 총 200척 이상의 국내 발주를 추진한다.

올해와 내년에 걸쳐 최소 40척, 5조5천억 원 규모의 공공 발주도 진행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 척의 일감이 아쉬운 상황에서, 200척이 넘는 수주가 일단 보장된다는 점은 수익뿐 아니라 업계 분위기 측면에서도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