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선점보다 완성도에 집중해야

자율주행차 보행자 사망 사고로 안전성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북미 내에서는 관련 업체들이 잇따라 자율주행차 시험 운행 중단을 선언하면서 기술 개발에 제동이 걸릴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 18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자동차 공유업체인 우버의 자율주행 시험차가 미국 애리조나 주에서 길을 건너던 보행자를 치어 사망에 이르게 했다. 2016년에 미국 테슬라 모델S의 자율주행 프로그램인 오토파일럿이 오류를 일으켜 트럭과 충돌, 부상 당한 운전자가 결국 숨을 거둔 이후 두 번째다. 공교롭게도 모두 미국에서 일어난 사고다.

이번 사고를 두고 여기저기서 보다 엄격한 규제를 외치는 목소리가 높다. 동시에 업계가 자율주행 기술의 올바른 실현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미국의 자율주행 테스트 환경이 엄격하게 관리되지 않는다는 점을 꼬집은 것이다.

실제 미국에서도 캘리포니아는 규제가 가장 완화된 지역으로 꼽힌다. 현재 약 50개 기업에게 자율주행 시험 허가를 내준 것에 이어 지난달에는 운전석에 사람이 앉지 않더라도 자율주행 시험이 가능하도록 승인하기도 했다. 기술을 선점하고자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전략인 셈이다. 반면 유럽은 자율주행 시험을 짧은 거리에 국한하거나 매우 낮은 속도로 제한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 제한된 거리에서만 허용했으며 고속도로와 같이 보행자가 없는 지역에서는 일정 이상의 속도로 운전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

자율주행기술의 도입 취지는 편의가 아닌 안전이다. 사람이 운전하는 것보다 자율주행이 획기적으로 사고를 줄일 수 있다고 여전히 완성차 업계는 굳게 믿고 있다. 그래서 이번 우버 사고 역시 사람이 운전했어도 피할 수 없는 돌발 상황이라고 말한다.
[하이빔]자율주행, 기술 선점만이 능사는 아냐

하지만 자율주행차가 당장 도로를 뒤덮으려면 꽤 오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기술의 완성 문제가 아닌 사고 책임 등 법적인 실타래가 여전히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다. 또 자율주행에 대한 일반인들의 낮은 신뢰도 역시 풀어야 할 숙제다. 지난달 미국 자동차조사센터는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연구발표에서 레벨4 및 레벨5 자율주행차의 경우 대부분의 예측과 달리 2030년에도 신차 판매의 4%에 머물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도 최근 자율주행 테스트가 활발하다. 지난 2016년 2월부터 지난해까지 임시운행허가를 받은 17개 기관 자율주행차 30대가 약 19만㎞를 무사고로 주행했다. 순조로운 상황이지만 그렇다고 고무될 필요도 없다. 자율주행의 최우선 과제는 재빠른 기술 선점 외에 제도 마련이라는 장벽이 높아서다. 결국 두 가지를 모두 해결해야 상용화의 길로 들어설 수 있다. 물론 기술 완성을 위해 시험은 계속되겠지만 '만약'이라는 허점은 제도가 보완해야 한다는 뜻이다.

김성윤 기자 sy.auto@autotimes.co.kr

▶ [하이빔]1t 소형 화물, LPG 활성화돼야
▶ [하이빔]내연기관 유지를 위한 아우디의 실험
▶ [하이빔]BMW코리아 상승세 뚜렷, 선두 되찾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