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자동차기업 폭스바겐은 지난달 중순께 전기자동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코발트를 최소 5년 이상 장기 공급할 업체를 찾는 입찰 공고를 냈다. 공급 가능한 물량을 지난달 말까지 써내라고 했지만 입찰에 참가한 광산업체는 나타나지 않았다. 폭스바겐은 결국 입찰 마감 기한을 이달 말로 연장했다.
전기차 뜨자 '귀한 몸' 된 코발트…폭스바겐, 장기 공급처 못 찾았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5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폭스바겐이 자동차 제조기업이라는 이유로 시장 가격보다 낮은 공급 가격을 제시하는 무리수를 두면서 광산업체들로부터 철저히 외면받았다”고 보도했다. 2030년까지 생산 및 판매 차량을 모두 전기차로 바꾸기로 한 폭스바겐으로선 코발트 장기 공급처 확보에 빨간불이 켜진 셈이다.

◆코발트 이어 니켈 가격도 오름세

코발트 국제가격은 지난달 15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파운드당 30달러를 돌파해 올 들어 80% 넘게 폭등했다.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면서 코발트 등 원자재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반면 주요 생산국인 콩고민주공화국의 정치적 혼란 등으로 공급은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이를 노리고 투기 세력까지 가세해 코발트 가격을 밀어올렸다는 분석이 많다.

코발트는 리튬이온배터리 출력을 높이는 데 쓰인다. 코발트뿐 아니라 리튬이온배터리 핵심 원자재인 리튬과 니켈 가격도 급등하면서 배터리 제조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리튬 가격은 지난 2년간 세 배 가까이 뛰었다. 코발트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는 니켈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LME 거래기준 니켈 가격은 지난달 t당 1만2000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공급이 불안정한 코발트 비중을 줄이고, 니켈 함량을 높인 배터리 개발에 집중해 왔다. 니켈 함량을 높이면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 동시에 원가 부담도 낮출 수 있다.

◆배터리 자체 생산 나선 완성차 업체

원자재 가격 폭등은 배터리 제조업체뿐 아니라 완성차 업체에도 위협 요소다. 테슬라 등 전기차 제조업체뿐 아니라 폭스바겐과 같은 기존 완성차 업체도 안정적인 배터리 수급을 위해 직접 생산에 나섰기 때문이다.

폭스바겐은 2030년까지 700억유로(약 93조원)를 투자해 300개 자동차 모델을 모두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500억유로는 배터리 개발과 생산공장 건설에 투입할 예정이다. 또 다른 독일 자동차 기업인 메르세데스벤츠의 모회사 다임러도 배터리 공장 신설에 10억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폭스바겐은 이번 입찰 공고에서 코발트 물량을 구체적으로 밝히진 않았으나 8만~13만t 정도의 코발트가 필요할 것으로 업계는 추산했다. 글로벌 코발트 생산량은 연 10만t에 불과하다. 이 중 60% 이상이 콩고에서 생산된다. 콩고의 소규모 개인 광산에서 벌어지는 아동노동 착취 등의 문제는 코발트 생산 불안 요소로 꼽힌다.

◆중국, 코발트·니켈 집중 확보 나서

이마저도 스위스 광산업체 글렌코어 등 소수의 글로벌 광산업체와 중국 업체가 독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글렌코어가 코발트 2만8000t을 생산했고, 중국 광산업체 차이나몰리브덴이 글렌코어와 연간 2만t 규모의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 정부는 전기차 등 신재생에너지자동차(NEV) 보급 정책으로 시장 확대를 이끌면서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생산 기지도 끌어들이고 있다. 미국 자동차기업 제너럴모터스(GM)는 배터리 제조를 위해 상하이자동차,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 CATL과 함께 합작법인을 설립할 예정이다. 중국에서 창안자동차, 장링자동차와 합작사를 운영하고 있는 포드자동차는 중국 전기차 제조기업 중타이자동차와도 합작기업 설립에 나섰다.

이와 달리 전기차 배터리 원자재 확보를 위한 한국 정부의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 완성차 업체까지 직접 배터리 소재 확보에 나서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다”며 “정부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추가영 기자 gyc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