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미디어 뉴스룸-한경BUSINESS] 진격의 크래프트 맥주…독특한 맛에 빠진 한국인
젊은 층을 중심으로 불던 크래프트 맥주 열풍이 청와대에까지 밀어닥쳤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7월 청와대에서 대기업 최고경영자들과 ‘호프 미팅’을 했다. 문 대통령과 기업인들이 마신 맥주는 국내 크래프트 맥주 기업 세븐브로이가 만든 ‘강서맥주’였다. 생소할 수 있는 크래프트 맥주를 중요한 미팅 자리에서 마셨다는 점에서 세븐브로이와 크래프트 맥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됐다. 관심은 매출로 나타났다. 홈플러스에서는 호프 미팅 후 나흘간 세븐브로이의 강서맥주와 달서맥주 매출이 150% 이상 늘었다.

빠르게 확산되는 크래프트 맥주

크래프트 맥주는 대기업이 아니라 중소 규모 맥주 제조업체에서 생산한 맥주를 가리킨다. 미국 양조협회에서 정의한 크래프트 맥주의 기준은 소규모(연간 생산량 9억5000L 이하), 독립성(외부 자본 25% 이하로 독립적 경영), 전통(전통적 재료·방식으로 제조)에 부합하는 맥주다. 현재 미국에는 4000개가 넘는 크래프트 맥주 브루어리(양조장)가 있다.

한국에서도 지난 2~3년 사이 크래프트 맥주 열풍이 빠르게 확산됐다. 크래프트 맥주가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으며 호텔과 대형마트·편의점도 앞다퉈 크래프트 맥주를 유통하기 시작했다. 크래프트 맥주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개발·유통·투자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플레이그라운드브루어리’ 역시 새로운 시도를 하는 브루어리다. 다른 브루어리가 맥주를 만들고 납품하는 데 중점을 뒀다면 맥주와 어울리는 한식을 제공하며 차별화했다. 치킨이나 피자가 아니라 제육볶음·순두부찌개와 어울리는 맥주를 개발하고 생산한다.

즐기는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커피처럼 크래프트 맥주 테이크아웃을 전문으로 하는 곳도 나왔다. ‘캔메이커 바이 크래프트브로스(이하 캔메이커)’는 크래프트 맥주를 캔에 담아 판매하고 있다. 캔메이커는 오직 국내에서 양조되는 40여 종의 국산 크래프트 맥주만 취급한다. 특히 강남역 표지판을 형상화한 강남 페일에일은 크래프트 맥주의 가장 큰 트렌드인 ‘지역명’을 업계 최초로 도입한 제품이기도 하다.

대기업도 속속 크래프트 맥주에 투자

인기에 힘입어 한국은 전 세계 크래프트 맥주 업계가 주목하는 시장으로 거듭나고 있다. 30년 역사의 뉴욕 판매 1위 글로벌 크래프트 맥주 기업인 ‘브루클린 브루어리’의 아시아 첫 자매 회사도 생겼다. 제주 한림읍에 자리한 ‘제주맥주’다. 제주맥주에서 첫 번째로 출시한 ‘제주 위트 에일’의 레시피는 전 세계 셰프들의 오스카상인 제임스비어드 어워드를 맥주업계 최초로 수상한 브루마스터 개릿 올리버가 개발해 관심을 모았다. 레시피 개발 단계에서부터 제주 토속 음식과의 조화를 고려했다. 제주 감귤피를 사용해 제주의 색을 담았다.

크래프트 맥주 기업에 대한 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이런 현상은 크래프트 맥주의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미국 크래프트 맥주를 이끌던 브루어리들이 잇달아 대기업에 인수됐다. 세계 최대 맥주 회사 AB인베브는 2011년 미국 시카고의 대표적 양조장인 구스아일랜드를 인수한 데 이어 2015년 로스앤젤레스 지역 내 최대 생산 규모를 가진 골든로드브루잉 등 5개 기업을 인수했다.

국내에서도 대기업이 직접 브루펍을 인수하거나 운영하기 시작했다. 신세계와 YG푸드는 직접 크래프트 맥주 전문점을 운영 중이다. 진주햄은 2015년 크래프트 맥주 제조 회사인 카브루를 인수했다. 더부스·어메이징브루잉컴퍼니·플래티넘맥주 등도 벤처캐피털을 통한 수십억원대 투자 유치를 성공시켰다. LF는 주류 수입사 인덜지의 지분을 사들이기도 했다.

국내 크래프트 맥주가 대형마트에서 각광받고 있는 수입 맥주에 대한 ‘대항마’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있다. 홈플러스가 강서맥주·달서맥주·해운대맥주 등 ‘지역 맥주 시리즈’를 출시한 뒤 수입 맥주에 밀렸던 국산 맥주의 판매 비율이 7월에 다시 50%를 넘어섰다. 대기업 주류 제조사 대표 맥주의 판매 증가율이 전월 대비 10% 미만인 것을 감안할 때 전월 대비 27.3%까지 증가한 크래프트 맥주가 홈플러스의 국산 맥주 전체 판매 규모를 늘리는 데 앞장선 셈이다.

김영은 한경비즈니스 기자 kye021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