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소비 증가율 전망 2.1% 그쳐…수출입 부진은 다소 완화
내년 주력산업 전망…IT '맑음'·자동차 '흐림'·조선 '비'


내년 우리나라 연간 경제성장률이 올해보다 소폭 떨어진 2.5%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27일 내놓은 '2017년 경제·산업 전망'에서 내년 국내 경제성장률을 2.5%로 예측했다.

올해 전망치 2.7%보다 0.2%포인트 내린 수치다.

반기별로 보면 상반기는 2.4%, 하반기는 2.7%로, '상저하고'(上低下高)의 흐름을 띠겠다고 예상했다.

내년 국내 경제가 움츠러드는 주된 이유는 올해 성장을 견인했던 건설투자가 대폭 둔화하고 가계부채 부담과 구조조정의 여파 속에서 가뜩이나 부진한 소비가 더욱 위축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올해 건설투자는 부동산 규제 완화정책에 힘입어 9.8%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전체 경제성장을 주도했다.

그러나 내년에는 아파트 분양권 전매 제한, 재건축에 대한 규제 조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증가세가 대폭 낮아질 전망이다.

산업연구원은 내년 건설투자 증가율을 올해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2.9%로 추산했다.

살림살이가 나아지지 않다 보니 국민의 지갑은 더욱 꽁꽁 닫힌다.

내년 민간소비 증가율 전망치는 2.1%로 올해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산업연구원은 "저성장과 미래소득에 대한 불안감이 이어지고 가계부채의 원리금 부담이 늘면서 소비성향은 하락 추이를 지속하고 있다"며 "유가 반등, 소득 증가세 둔화, 구조조정 여파로 인한 고용 악화 등은 소비 억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최순실 게이트'에 따른 정국 혼란 장기화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은 성장률을 더 떨어뜨릴 수 있는 하방 위험 요소로 남아 있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대외적으로는 미국 신정부 출범과 금리 인상 여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영향, 지정학적 불안이, 대내적으로는 가계부채, 구조조정, 정치 상황 등이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출입은 올해의 부진을 다소 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계 경제가 올해보다 소폭 좋아질 전망이고 유가가 반등하면서 단가 하락세도 진정 국면에 들어설 수 있다.

산업연구원은 내년 수출액(통관 기준)이 5천7억 달러로 전년보다 2.1%, 수입액이 4천150억 달러로 3.6% 개선될 것으로 예측했다.

또 수출부진 완화의 영향으로 올해 마이너스 성장(-3.8%)을 기록했던 설비 투자는 증가세(2.0%)로 돌아서겠다고 예측했다.

다만, 재계가 최순실 게이트에 휘말려 줄줄이 조사를 받는 상황인 만큼 기업들이 몸을 사린다면 실제 증가율은 전망치보다 상당히 떨어질 수 있다.

내년 우리 12대 주력산업은 일부 국가의 소폭 성장으로 교역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미국을 필두로 한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강화 움직임 확산 등 부정적 요인도 상존해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산업연구원은 조선, 철강,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등은 내년에도 글로벌 공급과잉이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조선, 철강, 가전 등은 글로벌 공급 심화가 계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수요침체도 겹쳐 업체 간 치열한 경쟁이 이뤄질 전망이다.

생산 측면에서는 정보통신(IT)산업을 중심으로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조선(-12.3%), 자동차(-3.6%) 등은 하락세가 계속되겠다고 봤다.

<표>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단위: 전년 동기 비, %, 억 달러)
┌──────┬───────────────┬──────────────┐
│ │ 2016년 │ 2017년 │
│ ├─────┬────┬────┼────┬────┬────┤
│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
│ 실질GDP │ 3.0 │ 2.5 │ 2.7 │ 2.4 │ 2.7 │ 2.5 │
│ │ <0.7> │ <0.5> │ │ <0.7> │ <0.8> │ │
├──────┼─────┼────┼────┼────┼────┼────┤
│ 민간소비 │ 2.7 │ 2.3 │ 2.5 │ 2.0 │ 2.3 │ 2.1 │
├──────┼─────┼────┼────┼────┼────┼────┤
│ 건설투자 │ 10.3 │ 9.4 │ 9.8 │ 3.2 │ 2.6 │ 2.9 │
├──────┼─────┼────┼────┼────┼────┼────┤
│ 설비투자 │ -3.6 │ -4.0 │ -3.8 │ 1.1 │ 3.0 │ 2.0 │
├──────┼─────┼────┼────┼────┼────┼────┤
│ 통관 수출 │ 2,412 │ 2,489 │ 4,902 │ 2,442 │ 2,565 │ 5,007 │
│(억달러, %) ├─────┼────┼────┼────┼────┼────┤
│ │ (-10.2) │ (-3.6) │ (-6.9) │ (1.2) │ (3.0) │ (2.1) │
├──────┼─────┼────┼────┼────┼────┼────┤
│ 통관 수입 │ 1,928 │ 2,077 │ 4,005 │ 2,014 │ 2,136 │ 4,150 │
│(억달러, %) ├─────┼────┼────┼────┼────┼────┤
│ │ (-13.2) │ (-3.1) │ (-8.2) │ (4.4) │ (2.9) │ (3.6) │
├──────┼─────┼────┼────┼────┼────┼────┤
│ 무역수지 │ 484 │ 413 │ 897 │ 428 │ 429 │ 857 │
└──────┴─────┴────┴────┴────┴────┴────┘
※ < >안은 전기비 분기 증가율의 반기 평균임.

<표2> 2017년 산업 전망 기상도
┌─────────────┬─────┬─────┬─────┬─────┐
│ │ 수 출 │ 생 산 │ 내 수 │ 수 입 │
├────┬────────┼─────┼─────┼─────┼─────┤
│ 기계 │ 자동차 │ ? │ ? │ ? │ ? │
│ 산업군 ├────────┼─────┼─────┼─────┼─────┤
│ │ 조 선 │ ?? │ ?? │ ? │ ?? │
│ ├────────┼─────┼─────┼─────┼─────┤
│ │ 일반기계 │ ?? │ ?? │ ? │ ? │
├────┼────────┼─────┼─────┼─────┼─────┤
│ 소재 │ 철 강 │ ?? │ ? │ ? │ ? │
│ 산업군 ├────────┼─────┼─────┼─────┼─────┤
│ │ 석유화학 │ ? │ ? │ ? │ ? │
│ ├────────┼─────┼─────┼─────┼─────┤
│ │ 정 유 │ ?? │ ?? │ ?? │ ?? │
│ ├────────┼─────┼─────┼─────┼─────┤
│ │ 섬 유 │ ?? │ ? │ ? │ ?? │
├────┼────────┼─────┼─────┼─────┼─────┤
│ IT │ 가 전 │ ? │ ? │ │ ? │
│제조업군├────────┼─────┼─────┼─────┼─────┤
│ │ 정보통신기기 │ ?? │ ?? │ ?? │ ?? │
│ ├────────┼─────┼─────┼─────┼─────┤
│ │ 디스플레이 │ ?? │ ?? │ ? │ ? │
│ ├────────┼─────┼─────┼─────┼─────┤
│ │ 반도체 │ ?? │ ?? │ ?? │ ?? │
├────┴────────┼─────┼─────┼─────┼─────┤
│ 음식료 │ ?? │ ?? │ ?? │ ? │
└─────────────┴─────┴─────┴─────┴─────┘
※ 전망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기준. ?? -10% 이하, ? -5%~-10, ? -5~0%, ? 0~5%, ? 5~10%, ?? 10% 이상.
※생산과 내수의 경우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수출과 수입은 모든 업종에서 달러화 가격 기준.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e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