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설계] "친구는 부동산 대박, 난 뭐했나…"  부러워만 말고 목표부터 세워라
“돈 걱정 없이 살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열심히 일하는데 왜 항상 쪼들려야 하나.” 누구나 한 번쯤 이런 푸념을 한다. 살림살이가 팍팍할수록 푸념의 빈도가 잦아지고 강도도 강해진다. 형편이 좀 나은 사람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친구가 부동산으로 대박을 쳤다는 소식이 들리면 “나는 뭘 했나, 어디에 투자해야 하나”라는 걱정이 생긴다.

이런 푸념과 걱정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 돈과 관련한 문제로 생기는 스트레스가 ‘재무 스트레스’다. 가계 소득, 소비지출, 자산과 관련해 갈등, 긴장, 부담을 느끼고 있다면 재무 스트레스를 겪는 것이다.

재산이나 소득이 많으면 재무 스트레스가 없을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부유하고 소득이 많은 사람도 얼마든지 재무 스트레스를 느낄 수 있다. 재무 스트레스가 주관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즉 재무 스트레스는 객관적인 재무상태가 아니라 재무상태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에 의해 생긴다. 그리고 다른 스트레스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는다.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이고 부부나 가족 간 불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직장에서의 업무 능률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그렇다면 재무 스트레스는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방법은 다양하다. 우선 스스로에게 “나는 재무상태에 대해 어느 정도 스트레스를 느끼나?”라고 직설적으로 물어볼 수 있다. 질문은 단순하지만 답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질문이 너무 포괄적이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은 질문을 몇 개로 나눠 생각하는 것이다. “①나는 종종 재무적 문제를 경험하는가? ②나는 오랜 시간 재무적 문제를 걱정하는 편인가? ③재무적 문제가 종종 직장 일을 방해하는가? ④재무적 문제가 종종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방해하는가?” 이 방법은 자신의 재무 스트레스 정도를 한 개 질문으로 뭉뚱그리지 않고 여러 갈래로 나눠 생각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여전히 답하기가 수월치 않다.

마지막 방법은 재무 스트레스를 지출, 자산, 소득, 부채 등 4개 하위 영역으로 나눠 각 영역과 관련한 실생활에서의 고민을 떠올려보는 것이다. 먼저 지출 스트레스는 각종 요금, 자녀의 등록금, 생활필수품 구매 등 일반지출과 친인척 관련 경조사비, 자동차 유지 및 수리비, 가구 또는 가전제품 구입비 등 특별지출에 대한 부담감의 정도를 말한다. ‘자녀의 학교 등록금 납부가 부담스럽다’, ‘시댁 혹은 친정(처가 혹은 본가) 식구 관련 행사가 많아 지출 부담이 크다’ 등 10가지 고민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1점)’부터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응답 중에서 선택하면 된다. 10가지 고민에 대한 응답을 모두 더한 점수가 높을수록 지출 스트레스가 강한 것이다. 서울 및 수도권의 학생 자녀를 둔 주부 42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지출 스트레스는 50점 만점에 평균 25점으로 나타났다.
 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자산 스트레스는 자녀 결혼자금, 노후 생활자금 등과 관련한 자산의 부족으로 생기는 불안감 정도를 가리킨다. ‘장차 자녀의 결혼자금 마련이 부담스럽다’, ‘노후를 대비한 경제적 준비가 안 돼 불안하다’ 등 4가지 고민에 대해 응답해 측정할 수 있다. 조사 결과 자산 스트레스는 20점 만점에 평균 13점이었다. 지출 스트레스보다 훨씬 강하게 느끼는 것이다.

소득 스트레스는 불규칙한 소득, 생활비 부족 혹은 소득 단절 등으로 인한 불안감 정도를 의미한다. ‘수입이 매달 규칙적이지 않아 불안하다’, ‘배우자의 월수입이 줄어 생활에 어려움이 있다’ 등 4가지 고민으로 측정할 수 있다. 앞선 조사에서 소득 스트레스는 20점 만점에 평균 10점으로 지출 스트레스와 비슷한 강도를 나타냈다.

마지막 부채 스트레스는 부채가 있거나 자산 대비 부채비율이 높은 경우 발생하는 부담감이다. ‘우리 집의 자산을 생각할 때 현재의 부채가 부담스럽다’ 등 3가지 고민으로 가늠해 볼 수 있다. 조사 결과 부채 스트레스는 15점 만점에 7점으로 재무 스트레스 4개 하위 영역 가운데 가장 약한 수준이었다.

재무 스트레스를 측정했다면 이제 극복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지출 스트레스는 효율적인 소비지출 관리로 대응할 수 있다. 예상 수입을 감안해 월간, 연간 지출 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때 매월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과 목돈 지출을 가늠해 보고 지출 스트레스의 10가지 고민에 해당하는 금액도 따져봐야 한다.

자산 스트레스에 대응하려면 분명한 재무목표가 필요하다. 자녀 결혼자금, 노후자금 등의 목표금액을 정해 준비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소득 스트레스는 불규칙한 소득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거나 소득 단절에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부채 스트레스는 자산이나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도록 조정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재무 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하고 극복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명심해야 할 것은 재무 의사소통이다. 재무 스트레스에 대응하려면 돈을 많이 벌고, 적게 쓰고, 잘 굴리는 재테크만으론 부족하다. 부부 간, 가족 간 원활한 재무 의사소통이 재무 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필수적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재무 의사소통의 양보다는 질이 재무 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더 중요하다. 돈 문제에 대해 무작정 많이 얘기하는 게 능사가 아니란 말이다. 효율적인 재무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지혜가 필요한 때다.

장경영 한경 생애설계센터장 long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