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의류 프리미엄화 위해 고부가가치 제품 등의 개발에 2천억원 투입

정부가 내년 약 3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자금을 투입해 생활용품의 프리미엄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2021년까지 2천억 원의 R&D 예산을 투입해 고부가가치 소재ㆍ제품 개발을 본격화하면서 패션·의류 분야의 프리미엄화도 도모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새로운 수출 유망 폼목으로 떠오른 소비재 분야를 육성해 부진을 거듭하는 수출을 활성화하는 차원이다.

정부는 올해 자동차·전자·철강·조선 등 중후장대(重厚長大) 제조업 위주였던 수출 주력산업 구조를 소비재 중심으로 재편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서울 두타면세점에서 이관섭 산업부 차관, 두산타워 조용만 대표, 디자인진흥원장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생활용품과 패션·의류 프리미엄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 3월 소비재 수출활성화 대책과 7월 제10차 무역투자진흥회의 신규 유망 수출품목 창출방안의 후속조치로 마련됐다.

특히 실용 중시, 친환경·웰빙 등으로 글로벌 소비 트렌드가 변화됨에 따라 정보기술(IT), 디자인(감성), 한류 열풍(문화) 등의 융합 요소를 반영해 7대 생활용품을 프리미엄화하기로 했다.

7대 생활용품은 가구, 가방, 주방용품, 문구, 운동 레저, 안경, 시계 등이다.

산업부는 내년 생활용품 프리미엄화 연구개발에 올해 지원 규모(130억원) 보다 2배 이상 늘어난 3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단기적으로는 제품 기획·개발, 수출마케팅 등 전 과정 지원을 통해 프리미엄 생활용품을 육성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협소한 공간에서 활용 가능한 작고 간편한 가구와, 증강현실 등 다양한 기술과 융합된 레저용품을 개발하기로 했다.

또 8월부터 생활용품 7대 품목별 R&D 기획 등 정책과제를 발굴하는 소비재 융합 얼라이언스(연합체)를 순차적으로 출범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국내 기업과 유명 아티스트 간 협업을 2배 이상 확대하고, 중소·중견기업에 6개월 이상 장기로 디자이너를 파견하는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생활용품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DoF(Design of Future·선행 디자인 개발 등을 의미), 인프라 확충, 대·중소 협력, 시니어 디자이너 자문단 운영 등도 추진할 방침이다.

패션·의류의 프리미엄화도 추진한다.

5대 핵심요소인 ▲ 디자이너 역량 강화 ▲ 신유통 플랫폼 활용 ▲ 신고기능 소재 개발, 생산기반 강화 ▲협업 생태계 조성을 집중 지원해 부가가치 창출에 나선다.

특히 2020년까지 유망 디자이너 200명을 육성하고 신진 디자이너가 창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사업화 기반과 생산 환경 등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같은 기간에 신유통 플랫폼을 활용해 300개의 유통 브랜드의 해외 온라인몰 입점을 추진한다.

2021년까지 2천억 원의 R&D 예산을 투입해 스마트의류 등 4대 중점분야의 고부가가치 소재ㆍ제품 개발에 나선다.

아울러 2020년까지 1천명의 봉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의류제조 시스템도 보급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우리의 강점인 IT 기술력, 한류 열풍을 글로벌 패션·의류 트렌드를 적극 공략해 국산 패션·의류가 새로운 수출 유망품목으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이날 대책 발표에 앞서 '글로벌 생활명품 육성사업'에 선정된 30개 제품에 선정증을 수여했다.

이 사업은 세계 시장에서 성공 가능성이 큰 국내 생활 소비재 제품을 발굴해 디자인·R&D·판로 개척 등의 맞춤형 지원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관섭 산업부 차관은 "시가총액이 현대자동차의 3배 가까이 되는 루이뷔통 그룹(LVMH)의 역사는 생활용품 여행 가방 제작과 함께 시작됐다"면서 "생활용품과 섬유패션 산업이 새로운 수출동력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정부도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연합뉴스) 이승환 기자 iaml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