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스 금리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저성장이 낳은 기현상이다.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의 초과 지급준비금에 마이너스 금리를 적용하는 것으로 유럽 각국과 일본 등이 자국 경기를 살리기 위해 각자도생식으로 대응하면서 등장한 정책이다. ‘브렉시트’로 인한 불안감까지 겹치면서 일각에서는 미국마저 마이너스 금리 ‘열차’에 탑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막시밀리안 쿤켈 UBS 자산관리 최고투자책임자는 “영국이 유로존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하면서 마이너스 금리 등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한 나라는 유로존 19개국과 스웨덴, 덴마크, 스위스, 일본 등 총 23개국이다. 선진국 중에서 아직 ‘정상 금리’를 적용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과 영국, 호주, 캐나다 정도다. 덴마크가 2012년 당좌예금(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한 예금) 금리를 적용하면서 본격화됐다.

마이너스 금리를 촉발한 결정적인 계기는 작년 12월 미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인 연방기금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다. 미국이 그동안 쏟아부은 자금을 서서히 회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유로존에 속한 나라들과 일본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자 나름의 양적완화로 대응했다.

경기 활성화라는 목표는 같지만 각국별로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한 이유는 약간씩 다르다. 스위스와 덴마크는 자국 통화가치의 급격한 상승을 막고자 하는 목적이 강했다. 유로존을 떠난 자금들이 스위스, 덴마크 등으로 몰리면서 중앙은행은 통화가치 상승에 따른 수출 비상을 어떻게든 막아야 했다. 스웨덴 중앙은행은 저물가를 끌어올리려는 목적이 강했다.

취리히=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