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산업혁명'이 재계의 화두로 떠올랐다.

4차 산업혁명은 제조업과 정보통신을 결합해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생산 패러다임 전환을 뜻한다.

올해 1월 열린 다보스 포럼은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를 주제로 잡았고 스위스 은행 UBS가 국가별 적응준비 순위를 발표하는 등 전 세계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신간 '21세기 대한민국 국부론'은 이런 거대한 변화의 흐름에서 한국 경제가 뒤처지지 않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저자는 한국 경제의 원동력인 제조업을 혁신하고 나아가 언젠가 다가올 '제5차 산업혁명'에도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는 독일 정부의 2006년 국가발전 로드맵에서 비롯됐다.

독일은 에너지·환경·통신 등을 미래 핵심기술로 지목하고 '인더스트리 4.0'을 방법론으로 제시했다.

제조업 강국으로 다시 도약하겠다는 목표가 담겼다.

저자는 제조업 부흥 전략이 세계적 추세라고 말한다.

미국의 'AMP(첨단제조업 파트너십) 2.0', 중국의 '메이드 인 차이나 2025' 프로젝트 모두 제조업 혁신·강화를 부르짖는다.

일본 역시 '아베노믹스'로 신산업 부흥에 나섰다.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은 구호에만 그쳤다는 비판을 받았다.

현 정부의 '제조업 혁신 3.0' 전략도 세계적인 트렌드에서 벗어나지는 않았지만 '창조경제혁신센터' 같은 일부 사업은 보여주기식 전시행정에 가깝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독일이 산업 전반을 혁신 중이라면 한국은 단순히 공장의 생산공정 개선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경제 철학과 소신을 갖추고 전문성을 바탕으로 정치력을 실천할 수 있는 '경제정치가'가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어야 한다고 본다.

우리나라에는 드물지만 '사회적 시장경제' 패러다임을 제시한 루드비히 에르하르트 전 독일 총리 등 외국에는 사례가 많다.

저자는 "좌우, 보수와 진보를 떠나 독일의 지도자들은 자신이나 계파보다는 무엇보다 국익과 국민을 위한 일관성 있는 경제정치를 최우선으로 삼았다"며 '새로운 정치경제 리더십'을 제안했다.

김택환 지음. 자미산. 304쪽. 1만6천원.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dad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