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6~27일 일본 남서부 미에현에서 열리는 주요7개국(G7)정상회담을 앞두고 의장국인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가 선진국 공조로 세계경제 부진을 막아보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비치고 있다.

하지만 세계경제 침체의 장기화를 우려할 정도로 전망은 밝지 않다.

지난 12일 국제통화기금(IMF)도 올해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보다 0.2%포인트 낮춘 3.2%로 제시했다.

이런 상황에서 14일 일본 도쿄신문은 미국, 중국, 유럽의 전문가들이 본 세계경제 전망과 처방에대해 다루면서 "미국이나 중국, 유럽 등 세계경제 상황이 둔화될 조짐"이라고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미국 경제의 현주소에 대해 스콧 섬너 미 조지메이슨대 금융정책연구소 소장은 "개선되고 있지만, 이례적으로 약한 회복"이라고 진단하고 구조적인 요인을 그 배경으로 주목했다.

섬너 소장은 "고령화 등 영향으로 장기적으로 노동참가율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기업의 생산성이 올라가지 않아 고용이나 소비가 약해지는 악순환이 생겨 "장래에는 성장률이 1%대가 되고, 이것이 미국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다"고 예측했다.

그는 일본에 대해서는 "아베노믹스의 이름 아래 고용환경이 개선되고 있다.

불경기는 아니다"고 평가하면서도 "최근 수개월간 일본은행의 금융정책 신뢰가 떨어졌다"며 마이너스 금리가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점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아베 정권이 할 일은 물가상승 목표(2%) 달성과 채무 줄이기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6.5~7.0%로 제시한 중국에서는 철강이나 석탄 등 국내산업의 과잉생산 해소가 초점이 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중국이 실시한 4조위안(약 708조원)의 경제대책이 과잉생산이나 수요를 무시한 부동산개발을 초래하면서 중국 정부는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구조 개혁을 서두르는 상황이다.

베이징리궁(理工)대 후싱더우(胡星斗) 교수(경제학)는 "중국경제는 성장방식의 전환점에 있다.

올해는 6.5%의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낙관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후 교수는 "정부가 경제에 강력히 관여하는 자세를 계속하는 한 과잉생산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경제에 대해 후 교수는 "중국경제는 부진하지만, 일본은 동남아시아나 인도 등 시장을 개척하는 힘이 있다"고 말했다.

유럽 경제에 대해 슈테판 슈나이더 도이체방크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연초 우려보다는 잘 진행 중"이라고 올 1분기 연착륙을 평가했다.

다만 세계적인 수요감소, 강한 유로화나 원유가격의 상승 반전으로 가계의 실질소득은 거의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올해 유럽지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약 1.5%로 예측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의 마이너스금리나 양적완화 등 정책에 대해서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민간부문의 과잉채무를 줄이고 은행은 부실채권처리에 매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춘규 기자 tae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