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반도체는 31일 경기 안산시 반월산업단지 내 1공장과 2공장을 연결하는 지하통로 준공식을 열었다. 이정훈 서울반도체 사장(앞줄 왼쪽부터), 한상원 민관합동규제개선추진단 부단장, 제종길 안산시장 등이 연결통로를 살펴보고 있다. 안산=김영우 기자 youngwoo@hankyung.com
서울반도체는 31일 경기 안산시 반월산업단지 내 1공장과 2공장을 연결하는 지하통로 준공식을 열었다. 이정훈 서울반도체 사장(앞줄 왼쪽부터), 한상원 민관합동규제개선추진단 부단장, 제종길 안산시장 등이 연결통로를 살펴보고 있다. 안산=김영우 기자 youngwoo@hankyung.com
31일 오전 경기 안산시 반월산업단지 내 LED(발광다이오드) 전문기업 서울반도체에서 조촐한 행사가 열렸다. 서울반도체 공장(2공장)과 자회사 서울바이오시스 공장(1공장)을 잇는 180m 길이의 연결통로 공사가 끝난 것을 자축하는 자리였다. 제종길 안산시장, 한상원 민관합동규제개선추진단 부단장 등이 참석했다. 연결통로 공사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준 사람들이다. 이들은 이정훈 서울반도체 사장에게 “마음고생 많이 했다”며 그동안의 어려움을 위로했다.

▶본지 2015년 5월29일자 A1, 6면 참조

서울반도체 '규제 터널' 10년 만에 뚫렸다
연결통로에는 무인차가 다닌다. 1공장 클린룸에서 LED칩을 싣고 와 2공장의 LED 패키지 클린룸에 자동으로 내린다. 특수가스 배관 12개도 설치했다. LED 생산에 필요한 질소 암모니아 등이 통과하는 배관이다. 이 배관 덕분에 1, 2공장에 모두 설치해야 했던 탱크와 처리기를 한곳으로 옮겼다. 이 사장은 “설비를 줄여 100억원가량을 아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사장이 연결통로를 구상한 건 약 10년 전인 2006년 8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울 구로공장의 주문이 물량을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넘치자 그는 신공장 건설 계획을 세웠다. 서울바이오시스 1공장 옆으로 옮기는 게 최선이었다. 핵심 부품인 LED칩을 서울바이오시스에서 공급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가능했다. 1공장 옆에는 이미 다른 회사 공장이 있었다. ‘공장을 팔라’고 제안했더니 받아들이기 어려운 가격을 제시했다.

하는 수 없이 언덕 너머 땅을 알아봤다. 직선으로 180m 거리였다. 공장을 짓는 게 가능했다. 이곳에 2공장을 짓고 1공장과 통로로 연결하면 된다고 이 사장은 판단했다.

이동통로 연결은 생각보다 훨씬 까다로웠다. 두 공장 사이의 언덕은 공원으로 지정돼 있었다. ‘공원에는 공공목적 이외 어떤 시설물도 설치할 수 없다’는 규정이 발목을 잡았다. 정부부처와 지역 상공회의소 등을 찾아가 수차례 민원을 제기했다. 법(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을 바꾸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그 사이 2공장이 2011년 7월 완공됐다. 언덕을 빙 둘러 1.2㎞를 트럭으로 LED칩을 옮겼다. 물건 출하, 포장, 운송 등 필요 없는 공정이 자꾸 생겼다. 이 사장은 이 문제를 풀어달라고 공무원을 볼 때마다 하소연했다.

한국경제신문의 지속적인 보도로 2014년 3월 청와대에서 열린 규제개혁장관회의 때 서울반도체 사례가 보고돼 해결의 실마리가 잡혔다. 민관합동규제개선추진단, 안산시 등이 머리를 맞댔다. 그해 9월 ‘공원 내 지하도의 경우 사적 시설물도 허가를 받으면 설치가 가능’하도록 시행령 개정을 이끌어냈다. 이게 끝이 아니었다. 언덕을 뚫고 지나간다 해도 3층 높이의 공장에는 연결이 불가능했다. 지하도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규제개선추진단은 다시 해결책을 모색했다. 3층 높이 연결 부위만 공원에서 해제하면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결국 작년 4월에야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의 ‘승인’을 받아냈다.

서울반도체는 2019년까지 7000억원 이상을 투자하고 2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기로 했다. 이 사장은 “규제 개선의 대표적 사례로 남아 많은 기업의 애로사항이 해결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안산=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