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각국 중앙은행들은 잇달아 기준금리를 ‘제로(0)’에 가깝게 떨어뜨리고, 국채를 매입해 돈을 푸는 양적 완화 정책을 시행했다. 통화량을 늘려 신용을 공급하고 수출 경쟁력을 확보해 침체된 경기를 부양하려는 목적이었다. 경제가 살아난 미국은 이제 금리 인상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다른 중앙은행들은 ‘아직 이르다’며 망설이고 있다. 지난 10년간 각국의 주요 경제 이벤트와 통화정책 흐름을 짚어봤다.
[막 내리는 미국 제로금리 시대] 경제 살아난 미국의 자신감…'금융위기 그림자' 지웠다
7년이라는 긴 시간을 지속한 미국의 제로금리 정책은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결과를 동시에 낳았다. 실업률이 크게 떨어지고 자동차 등 일부 제조업이 호황을 맞은 것은 미국의 경제 회복에 큰 도움이 됐다.

하지만 소득 증가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다. 제로금리 장기화가 초래한 자산 거품과 부채 급증은 금리 인상 국면에서 경계해야 할 위험 요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막 내리는 미국 제로금리 시대] 경제 살아난 미국의 자신감…'금융위기 그림자' 지웠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 미국 중앙은행(Fed)의 제로금리 정책이 남긴 공과(功過)를 정리해 보도했다. 제로금리의 효과가 가장 돋보인 곳은 고용시장이다. 2009년 10월 10%까지 치솟은 미국의 실업률은 지난달 정확히 절반인 5.0%로 떨어졌다. 시간제 근로자와 구직 포기자까지 포함한 실업률도 제로금리 기간 17.1%에서 9.9%로 하락하며 한 자릿수에 진입했다.

산업계에서는 미국 자동차 회사들이 초저금리의 혜택을 가장 많이 입었다. 할부로 차를 구입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자동차 판매실적은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올해 미국 시장에서 신차 판매량은 1819만대로, 역대 최대였던 2005년의 1750만대를 넘어설 것이라는 예상이다.

반면 미국 국민의 소득 수준은 기대만큼 높아지지 못한 것으로 평가됐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세후 소득은 제로금리 기간에 연평균 1.8% 증가하는 데 그쳤다. 과거 세 차례 경기확장 시기의 연평균 3.3%에 비해 증가세가 약했다. 미국 럿거스대 경제사학자인 마이클 보르도 교수는 “경기 회복 속도가 아주 느렸다”고 진단했다.

흥미로운 것은 Fed의 금리정책을 비판한 전문가들의 예측 중 일부는 틀린 것으로 드러났다는 점이다. 7년 전 제로금리를 시작했을 때 상당수 경제학자는 물가가 빠른 속도로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지난달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0.5% 상승해 Fed의 목표치(2.0%)와 여전히 격차가 크다. 물가가 상승하면서 같이 오를 것으로 예상됐던 금값은 제로금리 기간에 오히려 21% 떨어졌다.

달러 약세를 예상한 월가의 거물들도 헛다리를 짚었다. 2010년 11월 미국의 주요 헤지펀드 대표들은 당시 벤 버냉키 Fed 의장에게 “저금리 정책은 달러 약세를 부추길 것”이라고 경고하는 편지를 보냈다. 그러나 미 달러화 가치는 미국의 경제 회복이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돋보이면서 주요 통화 평균보다 22% 올랐다.

금융위기가 한 고비를 넘긴 뒤 미국과 달리 금리 인상으로 방향을 틀었던 나라들이 시련을 겪은 것도 주목된다. 2010년 제로 수준이던 금리를 이듬해 연 2%로 올린 스웨덴은 주택시장 거품이 갑작스럽게 꺼지면서 불거진 가계부채 문제에 발목이 잡혔다. 물가와 실업률 상승까지 겹치자 스웨덴 중앙은행은 다시 금리를 내렸다. 현재 스웨덴의 기준금리는 -0.35%다.

박해영/이상은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