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으로부터 덤핑 의혹이 제기된 제품은 대부분 중국산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과 중국의 산업구조가 비슷해지면서 무역 마찰 빈도도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무역위원회에 접수된 반덤핑 조사신청 아홉 건 중 여덟 건이 중국산 제품이었다. 나머지 한 건은 일본이었다. 올 들어 반덤핑 조사신청이 접수된 한 건도 중국산 제품이다.

반덤핑은 국내 산업 보호를 목적으로 덤핑 업체나 덤핑 국가의 수출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해 수입을 규제하는 조치를 말한다.

2000년 이전엔 일본이 반덤핑 조사신청 건수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2000년대 들어선 중국과 일본 제품 수가 비슷해졌고, 최근엔 중국산 제품이 압도적으로 많아졌다.

박진규 무역위 무역조사실장은 “일본의 산업구조가 고부가가치화하면서 한국과 겹치는 부분이 적어지고 있다”며 “그 빈자리를 중국이 파고들면서 덤핑 여부를 둘러싼 갈등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대형 장치산업에서 생산되는 중국산 중간재들이 주로 덤핑 의혹을 받았다. 2001년부터 무역위에 반덤핑 조사신청된 품목들을 보면 화장품과 페인트 등의 연료로 쓰이는 초산에틸과 같은 화학제품이 46건으로 가장 많았고 △종이·목재 22건 △제철·금속 21건 △섬유 15건 △기계·전자 10건 △유리·도자기 10건 등이 뒤를 이었다.

무역위 관계자는 “중국이 가전제품 스마트폰 자동차 반도체 등 한국의 주력 소비재 수출품목으로 앞다퉈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며 “중국 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신청은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