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등 주요 6개국(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과 이란의 핵 협상 타결에 따른 최대 수혜국으로 중국이 꼽히고 있다. 국제사회의 경제제재 상황에서도 이란을 외면하지 않아온 중국이 빠르게 이란 내 입지를 강화할 것이란 전망에서다.

세계 4위 원유매장국 이란과 원유 최대 수입국인 중국의 관계가 공고해지면 중국 내 원유시장 점유율을 높이려는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중국에 보다 적극적인 ‘구애’를 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에너지 부문서 입지 다져온 중국

'이란 핵협상 타결' 최대 수혜국은 중국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폴리시는 15일 “이란 핵 협상이 지난 14일 13년 만에 타결되면서 이란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 해제가 임박해졌다”며 “중국과 이란의 경제관계가 다른 국가보다 빠르게 진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중국과 이란의 교역액은 518억달러(약 59조1660억원)에 달했다. 전년 대비 32%가량 증가했다. 작년에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만나 에너지와 고속도로, 건축자재를 주요 협력부문으로 삼기로 했다.

핵 협상 타결 전 대부분 국가는 미국 등의 눈치를 보며 이란 경제제재에 동참했다. 서방 국가들이 이란 내 사업을 보류·철수하는 과정에서 생긴 공백을 중국이 메웠다. 중국 기업은 이란의 에너지, 상품, 건설·플랜트 프로젝트 시장 등에 전방위적으로 진출을 꾀했다. 수입량은 제한했지만 이란에서 계속 원유를 수입했고, 기업 간 대규모 투자협력 논의도 지속했다.

중국은 2009년부터 이란의 최대 교역국이 됐고, 이란이 수출하는 원유의 절반을 사들이게 됐다. 미국 금융전문지 배런스는 “이란 등 중동지역은 대규모 프로젝트 관련 정보 등을 수집하는 게 쉽지 않아 인맥이 수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이란 시장에서 미리 기반을 다져온 중국이 이란의 시장 개방 이후 가장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고 전했다. 이란 정부 관계자들은 지난 4월 핵 협상이 잠정 타결되자마자 중국을 방문해 중국 최대 국영석유업체 시노펙 등과 이란 내 원유시설 투자를 논의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사업 중 하나는 이란과 중국 간 파이프라인 건설이다. 이란은 파키스탄까지 이어지는 천연가스관 건설을 추진 중이다. 중국 역시 파키스탄까지 연결되는 3000㎞의 철도, 도로, 가스관 건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각 사업이 완료되면 세계 2위 매장량을 확보하고 있는 이란의 천연가스가 육로로 중국에 공급될 수 있다.

○중국의 중동 전략에도 호재

전문가들은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가 풀리면 중국의 중동 전략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은 지금까지 중동 지역 내 마땅한 ‘우군’이 없었다. 중동 산유국은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로 미국과 관계가 돈독한 아랍 국가들이다. 중국은 최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 등 중동 문제 전반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과 이란의 관계가 더 밀접해지면 중국이 이란을 발판으로 중동 지역에서 영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