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을 웃도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다소 떨떠름한 반응이다. 직전 수치가 워낙 나빠 반등폭이 커보일 뿐, 저성장 기조를 탈피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견해다. 대규모 추경 편성의 필요성을 놓고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도 있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특히 경기가 바닥을 찍은 것 아니냐는 분석을 극도로 경계하는 모습이다. 직전인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이 0.3%에 그친 데 따른 ‘기저효과’일 뿐이란 설명이다.

기재부 경제분석과 관계자는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1.5%로 지난해 4분기와 같았다”며 “저성장 흐름에서 아직 벗어난 게 아니다”고 분석했다. 기재부가 일희일비할 수 없는 데는 지난해의 경험도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1분기에도 성장률이 0.8%로 나타나 경기바닥론을 달궜지만 2분기부터 다시 0.3%로 후퇴했다.

경기 회복 신호로 부각된 건설투자에 대해서도 기재부는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월 건설기성액은 7.0%(전월 대비)로 큰 폭의 반등을 기록했다. 3월 수치가 나오지 않았지만 현재 추세대로라면 지난해 3분기(1.0%) 4분기(1.4%)에 이어 3분기째 플러스를 유지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 경우도 건설 경기 회복으로 보긴 어렵다는 지적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2011년 이후 건설기성액 자체가 워낙 줄었다”며 “이 탓에 신도시 몇 군데의 착공만으로도 수치가 훨씬 좋은 것처럼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곧 발표될 통계청의 3월 산업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그는 “자동차 등 광공업 생산이 여전히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은행의 1분기 성장률 수치는 3월치를 완전히 반영하지 않은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깜짝 성장률’로 인해 정부가 추진해온 대규모 추경 편성안의 명분이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가재정법상 추경 편성 요건은 ‘경기침체, 대량실업, 남북관계의 변화’ 등으로 한정돼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는 최근 검토보고서에서 “경기침체는 2분기 연속 실질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인 경우에 해당하는데 최근 상황은 0~1%대의 저성장 기조일 뿐 경기침체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민주통합당도 추경의 법률적 요건을 놓고 논란을 제기한 바 있다. 정부는 경기 회복의 마중물이 되려면 추경안이 다음달 안에 국회를 통과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논란이 가열되면 이를 장담하기 어렵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