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은 성장동력일 뿐 아니라 고용 창출의 지름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청년(15~29세) 실업자는 35만명으로 전체의 36.7%에 이른다. 청년 실업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업 생태계를 울창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다만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과 미국의 창업 생태계를 비교해 보면 시사점이 크다. 미국은 실리콘밸리 등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경제를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양국의 창업 생태계를 3가지 측면에서 보자. 첫째, 창업초기 금융조달이다. 한국은 융자 위주의 금융 시스템이다. 창업초기자금 대부분을 정책자금 등 일반 금융(융자)으로 조달한다. 이는 갚아야 하는 돈이다. 못 갚으면 신용불량자로 전락한다. 반면 미국은 창업초기자금 대부분을 엔젤이나 벤처캐피털을 통해 조달한다. 투자유치이기 때문에 상환 의무에 묶여 있을 필요가 없다. 2009년 중 한국의 엔젤투자는 346억원에 불과했다. 엔젤투자가 176억달러에 달한 미국의 약 500분의 1에 불과했다. 한국의 경제력이 미국의 15분의 1인 점을 감안하더라도 한국의 엔젤투자는 너무 적다.

둘째, 중간회수 시장이다. 엔젤이나 벤처캐피털이 창업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언젠가 자금을 되찾기 위한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인수·합병(M&A) 등 중간회수시장이 발달해야 한다. 홍순영 중소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의 경우 M&A를 통해 기업을 팔아 투자금을 되찾는 비율(90%)이 나스닥 상장(10%)보다 훨씬 높지만 한국은 이 시장이 발달하지 못해 오로지 코스닥 상장에만 목을 매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다보니 언제 어떻게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다.

셋째, 창업 문화와 실패자에 대한 인식이다. 한국 사회엔 ‘창업은 취업이 안될 경우에 하는 선택’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 또 ‘한번 실패자는 영원한 실패자’라는 주홍글씨가 새겨진다. 반면 미국의 경우 가장 유능한 인재가 창업하고 실패는 자산으로 여긴다.

김낙훈 중기전문기자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