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전력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기안전 관련법 마련이 시급합니다.”

박철곤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60·사진)은 18일 취임 1주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독립적인 법이 없다 보니 전기안전 제도의 취약점이 많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사장은 “지난해 12월 울산산업단지 정전 사고의 발생 원인이었던 변전소 중고 부품 사용도 현행 제도에선 전기안전공사가 단속할 법적 근거가 없다”며 “전기안전 관련법 제정 등 제도적 뒷받침이 이뤄진다면 정전 사고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1974년 출범한 전기안전공사는 전기 설비 검사 및 안전진단 등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액화석유가스 안전관리 및 사업법 등 관련 법령이 있는 가스안전공사와는 달리 전기안전공사는 전기사업법 74조에 설립 근거만 마련돼 있다. 박 사장은 “국가적인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규모 정전사고를 막는 데 앞으로 전기안전공사가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며 “법 제정을 위해 정부를 설득하는 데 힘쓸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박 사장은 올해 초 공사의 중·장기 성장 전략을 짜기 위해 미래전략실을 신설했다.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국내 시장을 벗어나 해외로 눈을 돌려야 한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다음달 중 두바이에 중동지역 사무소를 여는 것을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유럽, 중남미 등에 해외 지사를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그는 “무(無)정전 검사기법 등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 있는 기술을 신흥 개도국에 수출해 전기안전 한류(韓流)를 전파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사 혁신을 위해 성과 중심의 ‘주식시장형 인사 시스템’도 도입했다. 블루칩(우량주)에 더 높은 가격이 매겨지고 수요자들이 몰리는 것처럼 간부들에게 신망과 평판이 좋은 인재를 팀원으로 뽑을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처장은 같이 일할 부장을, 부장은 같은 부서에서 근무할 차장을 직접 선발하는 방식이다. 그는 “직원들이 성과를 내고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동기를 갖도록 하기 위해 인사 방식을 개선했다”며 “인사 청탁을 한 직원에게는 실제 불이익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총리실 해결사’란 별명을 갖고 있는 박 사장은 27년의 공직 생활 중 23년을 총리실에서 보냈다. 차관급인 국무차장을 거쳐 작년 6월 전기안전공사 사장에 취임했다.

한편 전기안전공사는 이날 여름철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 전국 6만2000대 비상용 발전기에 대한 일제 점검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