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이후 실직자수 최저, 실업률도 하락

미국 경기회복의 최대 걸림돌인 실업사태가 개선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11월 실업률이 하락 반전하고 한달간 사라진 일자리 수가 2007년 12월 경기침체가 시작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향후 정규직 고용의 확충을 알리는 각종 선행지표들도 일제히 호전됨으로써 최악의 실업사태가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낳고 있는 것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3일 업계와 노동계, 학계, 비정부기구(NGO) 대표를 비롯해 130여명의 각계 대표들을 백악관으로 불러 `일자리 창출 서미트'를 개최, 비장한 각오로 실업사태 해결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다짐한 후 이러한 양호한 고용지표가 발표됨으로써 오바마의 어깨가 한결 가벼워진 듯 하다.

미 노동부가 4일 발표한 11월 고용지표는 전문가들의 예상을 깨고 상당히 호전된 수준을 나타냈다.

10월에 10.2%를 기록하면서 두자릿수로 훌쩍 올라선 실업률은 11월에도 같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그러나 11월 실업률은 예상과 달리 10.0%로 0.2%포인트 하락했다.

한달간 사라진 일자리의 수도 전문가들은 13만개 정도로 예상했지만 발표치는 1만1천개로 2007년 12월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2007년 12월에 12만개의 일자리가 증가한 이후 23개월 연속으로 일자리 감소 행진이 이어져 오고 있지만 감소규모는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월간 일자리 감소규모는 올해 1월 74만1천개로 최고 정점에 달했지만 2,3월에는 60만개 중반으로 내려 선 이후 4월에 50만개, 6월 40만개, 7월 30만개, 8∼10월에 각 10만개 중반 수준으로 줄어들었고 11월에만 마침내 1만1천개까지로 감소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내년초까지 실업률이 계속 상승하다가 1.4분기중에 신규 취업자수가 실직자수를 능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고용사정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11월 지표는 이러한 바닥탈출 시점이 다소 앞당겨질 것이라는 기대감을 불러 올만하다.

향후 고용시장의 흐름을 읽을 수 있게 하는 선행지표들이 모두 좋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11월중 임시직 고용은 5만2천명이 늘어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기업들은 당장 일손이 부족하지만 향후 경기전망에 대한 확신이 없을 때 정규직이 아닌 임시직 고용으로 일손 부족을 해결한다.

임시직 고용의 증가는 일손 부족을 느끼는 기업들이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주간 평균근로시간도 10월중 33시간에서 11월에는 33.2시간으로 늘었고 시간당 임금도 18.74달러로 0.01달러 올랐다.

근로시간과 시간당 임금이 증가하는 것은 기업들이 고용을 늘리지 않고 기존 인력의 활용도를 높여 일손부족을 해결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추세가 당분간 계속되다보면 자연스럽게 정규직 고용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상황을 낙관적으로만 볼 수 없게 하는 요소도 없지 않다.

11월에 제조업 부문에서 4만1천개의 일자리가 없어지고, 건설 부문에서도 2만7천개가 사라졌다.

다만 서비스부문에서 5만8천개가 증가했다.

서비스업 가운데 전문직과 기업서비스는 8만6천명이 늘었고 교육.의료부문은 4만명이 증가했다.

정부부문도 일자리를 계속 늘리는 추세다.

생산현장은 여전히 일자리를 없애나가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부양책에 의존한 교육.의료부문에서 고용확충이 이뤄지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또 11월 실업률이 전월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한 이유는 전체 노동인구에 대비한 실업자수가 1천540만명으로 32만5천명이 줄었기 때문이다.

특히 취업자와 구직의사를 가진 실업자를 합친 전체 노동인구는 한달 전에 비해 10만명이 감소해 석달 연속 줄었다.

일자리를 찾아 헤매다 지쳐 구직을 단념한 사람이 늘어나면서 실업률이 하락한 것처럼 보인 것이다.

현재 구직을 포기해 노동인구에 포함되지 않는 실업자는 600만명쯤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를 포함하면 전체 실업률은 17.2%로 높아진다.

이런 요소를 감안하면, 미국의 실업사태가 다소 개선되고 있기는 하지만 완전한 회복까지는 갈 길이 한참 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바마 행정부의 예상대로 내년 1분기쯤 실업사태가 호전되기 시작한다고 하더라도 회복속도는 매우 더딜 것으로 예상된다.

(워싱턴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sh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