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산업지원 예산의 0.7%'.국내 섬유업계가 처한 현실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이렇다. 막대한 투자비가 요구되는 탄소섬유,나노섬유 등 첨단소재 개발로 갈 길이 먼 섬유업계에 대한 정부 지원이 턱없이 낮다는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지난해 지식경제부 산업지원 예산은 총 13조4800억원.이 중 섬유업계에 지원한 금액은 0.7%인 893억원에 불과하다.

섬유업계 관계자는 "짧게는 5년에서 길게는 10년 이상 걸리는 신섬유 소재 개발의 특성을 감안할 때 정부의 예산배정 규모는 무관심에 가까울 정도"라며 "이런 상황에서 차세대 첨단산업으로 재도약하고 있는 섬유산업의 기술이 제대로 육성될 수 있겠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개성공단 활성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한층 커지고 있다. 중국이나 동남아 시장에 비해 물류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에 훨씬 도움이 되는 개성공단의 장점을 잘 살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중국 칭다오에 현지법인을 운영하고 있는 중소 섬유업체 J사 대표는 "동일한 업무를 놓고 비교할 때 중국에서의 생산성이 30%라면 개성공단에서는 80~90%까지 올라간다"며 "개성공단에 대한 정치적 불안감만 해소할 수 있다면 당장이라도 중국 사업을 접고 개성으로 옮겨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섬유산업은 자동화가 빠르게 확산되는 일반 제조업과 달리 수작업이 많은 게 특징이다. 요즘 정부가 강조하는 '고용인력' 증대에 직결되는 산업 분야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7년 기준 섬유업계는 국내 전체기업 수의 14.1%(1만6862개사),고용의 8.7%(25만2000명)를 차지한다.

정우영 제원화섬 회장(전 대한직물공업협동조합연합회장)은 "섬유산업은 특히 중산층이나 서민층의 일자리 창출에 효과적"이라며 "차세대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용창출 효과를 노릴 수 있는 섬유산업을 더욱 체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