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과 호주가 정책금리를 인상하면서 글로벌 출구전략이 본격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주 호주의 금리인상은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처음인데다 그간 출구전략을 실행하는 데 있어 국제 공조를 하기로 한 만큼 충격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하지만 그간 G20의 논의 동향을 살펴보면 호주의 이번 금리인상이 돌발 결정이 아니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달 25일 미국 피츠버그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선 출구전략을 사전에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는 데 각국 정상들은 의견을 같이 했다. 출구전략을 마련하거나 실행하는 데 있어서는 국가별 차이를 감안키로 했으며 다만 한 국가의 출구전략이 다른 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호주의 경우 최근 2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한 데다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인해 원자재 수출에 따른 호주 내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사전 차단이 필요했다. 지난해 리먼 사태 이전 연 7.0%이던 금리를 연 3.0%로 떨어뜨린 만큼 이제 0.25%포인트를 인상한 것이 나름대로 일리가 있다는 얘기다.

호주의 뒤를 이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있는 국가로는 인도가 꼽히고 있다. 두부리 수바라오 인도 중앙은행 총재는 지난달 초 "인도의 인플레 우려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어 다른 나라보다 빨리 출구전략에 대한 결정을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인도가 이르면 올해 안에 정책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인도와 더불어 출구전략을 앞서 실행할 국가로는 인도네시아 브라질 노르웨이 등 원자재 수출국가들이 거론되고 있다.

중국은 넓은 의미의 출구전략을 이미 시행 중이다. 금융당국이 은행의 대출을 틀어막기 시작한 것이다. 지난 상반기 은행의 신규 대출액이 7조3000억위안으로 정부 목표치 5조위안을 크게 웃돌고 이로 인해 물가가 뛰고 자산시장이 들썩거리자 하반기들어 당국이 창구지도를 통해 대출을 억제시키고 있다.

미국은 출구전략을 빨라야 내년 하반기께나 시행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지난 6월부터 각종 지표들이 호전되기 시작했지만 9월 말 발표된 실업률이 9.8%로 26년 만에 최악으로 나타나자 우려가 다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우려도 여전하다. FRB가 모기지채권 매입 시한을 당초 올 연말에서 내년 3월 말까지로 늦춘 것은 그만큼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