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규 연합자산관리(UAMCO) 사장(사진)은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은행권의 마지막 남은 과제가 부실채권 줄이기"라며 "부실채권 시장을 활성화해 은행의 자산건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돕겠다"고 4일 밝혔다.

지난 1일 출범한 UAMCO는 농협중앙회와 국민,우리,신한,기업,하나 등 6개 은행이 출자와 대출 등으로 1조5000억원을 납입해 설립한 부실채권 처리 전문 기관이다. 초기 설립 자금으로 5조원가량의 부실채권을 매입할 예정이며 앞으로 자금을 추가로 유치해 부실채권 매입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이 사장은 향후 은행권의 부실채권이 시장에 대규모로 쏟아질 경우 가격 폭락을 막는 것을 UAMCO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꼽았다. 은행들은 금융당국의 지도에 따라 연말까지 부실채권 비율을 평균 1.09%로 낮추기 위해 20조원 안팎의 부실채권을 매각 또는 상각(손실처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앞으로 부실채권의 수요 이상으로 공급이 늘어나 가격이 하락,은행들이 손실을 입을 수 있다.

이 사장은 "부실채권 시장에서 기존의 캠코 외에 매입 주체가 하나 더 생겼다는 것만으로도 가격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부실채권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왔을 때 가격을 떠받치는 기능만 해도 UAMCO의 존재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UAMCO가 자본금을 낸 은행들을 의식해 부실채권을 적정가격보다 높게 매입할 수도 있다는 일부의 우려에 대해서는 "그럴 이유가 없다"고 일축했다. 이 사장을 비롯한 UAMCO의 임직원들은 UAMCO의 경영 성과에 따라 평가를 받기 때문에 손실을 보는 거래는 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또 UAMCO가 손실을 내면 지분법에 따라 출자 은행들의 경영 실적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UAMCO가 부실채권을 높은 가격에 산다고 해서 은행에 이익이 되는 것도 아니라고 설명했다.

이 사장은 UAMCO가 법정관리 채권의 매각을 활성화해 기업 구조조정을 촉진하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법정관리 중인 기업의 채권은 여러 은행에 흩어져 있어 매각하기가 쉽지 않았다"며 "UAMCO가 생김으로써 은행들이 서로 협의해 채권을 일괄적으로 매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1998년 기업구조조정위원회 초대 사무국장으로 발탁돼 대우그룹을 비롯한 재벌기업의 구조조정 작업을 지휘했으며 이후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에서 부행장을 지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