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대율 지표가 은행의 유동성 상황을 반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 노형식 연구위원은 13일 `예대율의 의의와 한계' 보고서에서 이같이 말하고 "예대율 지표를 해석할 때는 은행과 국가별로 자금조달과 자산운용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예금 대비 대출 비중을 뜻하는 예대율은 은행의 유동성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통상 100% 미만이면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세계 금융위기 이후 해외 언론들은 우리나라 은행의 예대율이 100%가 넘는다는 점을 문제로 삼았다.

노 연구위원은 국내 은행의 예대율이 선진국 은행보다 높은 수준인 이유는 자산 유동화 실적이 현저히 낮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은행의 자산은 대출과 유가증권으로 구성되는데, 유가증권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예대율이 낮더라도 반드시 유동성 위험이 적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예컨대 평상시는 기업어음이나 회사채와 같은 유가증권을 처분하기 쉽지만 금융위기 때는 처분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기관투자가의 거액 예금은 은행 계정상 예금으로 분류돼 예대율을 낮추는데 기여하지만, 한꺼번에 빠져나갈 가능성이 커 유동성 위험을 줄이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노 연구위원은 "올해 2분기 말 국내 은행의 원화 예대율은 124.1%이지만 미국 등과 같이 양도성 예금증서(CD)를 포함해 예대율을 계산하면 98.7%로 하락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처럼 예대율이 주는 정보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예대율을 기준으로 개별 은행을 일률적으로 판단하거나 국제 비교를 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fusionj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