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우리나라 경제의 위험요인으로 '기업부실' 문제가 부각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8일 보고서에서 "2007년 이후 큰 폭으로 확대된 기업대출이 경기침체 영향으로 부실화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과 원화 환율 상승으로 기업실적이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국내 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2.3%로 전년 동월 대비 0.9%p 상승해 2005년 5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국내 은행의 지난 3월 말 부실채권 잔액은 19조3000억원에 달해 2001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기업들의 채무 상환 능력은 전반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12월 결산 상장법인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은 7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8% 감소했고, 부채 비율은 전년 동기 88.2%에서 109.5%로 상승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이 2007년 6.0에서 지난 1분기 2.3으로 뚝 떨어졌다.

연구소는 "과거 경기와 기업부실의 관계를 보면 기업 연체율은 경제성장률이 저점을 통과한 이후에도 상승했다"면서 "하반기에 기업 채산성이 악화되면서 기업부실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은행은 증자와 자본확충펀드 등을 통해 부실 흡수 능력을 높였기 때문에 기업부실이 금융권 부실로 확대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연구소는 한반기 우리나라 경제가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정부의 주요 사업비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할 것으로 보여 상반기처럼 경기 부양 효과를 기대하기도 어렵다는 것이다.

부동산 시장은 미분양 부담이 여전하고 은행권 가계대출 확대 여력이 축소돼 하반기에도 본격 회복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대외적으로는 달러화 약세와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유가가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이겠지만, 일시적 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하반기 글로벌 금융 시장은 부실처리가 지연되고 있고 미국 상업은행 부실과 유럽발 금융 불안이라는 잠재적 위험요인이 여전히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하반기 정부의 경기 관리 능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면서 "경제가 안정될 때까지는 저금리 유지 등 기존 확장적 통화정책 기조를 지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소기업 지원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력을 높이고 소비 여력을 확대하는 동시에 내수산업인 서비스 부문 육성에 주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경닷컴 박철응 기자 her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