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화력 발전사들이 중국산 유연탄을 도입하는 방식을 놓고 지식경제부와 한국전력이 갈등을 빚고 있다.

사용하는 용어부터 다르다. 한전은 하나의 주체가 협상과 구매를 맡는 '통합구매'로 쓰는 데 비해 지경부는 2~5개사가 필요에 따라 함께 구매하는 '공동구매'라는 말을 사용한다.

한전과 5개 발전사는 8일 이달 중순께 중국에 통합구매팀을 보내 구매협상을 벌이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연료비 급등으로 대규모 적자가 난 만큼 중국산 유연탄은 통합구매로 가격을 깎겠다는 것이다. 중국의 3개 수출 광산주들이 단일 창구를 만든 것도 배경이 됐다.

발전사의 한 관계자는 "일본은 수십년 전부터 10개 발전회사가 별도 자회사를 둬 통합구매하고 있다"며 "필요할 때 하는 '공동구매'는 5개사 입장이 서로 달라 협상력을 내는 데 실효가 없다"고 말했다. 김쌍수 한전 사장과 5개 발전사 사장들이 지난 2월 협약식을 갖고 '연료통합구매실'이라는 조직을 두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문제의 핵심은 통합구매 시 '바잉파워(구매력)'가 높아져 기대한 만큼 중국산 유연탄을 싸게 살 수 있느냐는 점이다.

지경부는 이에 대해 "그런 보장도 없고 발전사 간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이뤄진 발전사 분할 취지에도 맞지 않는다"고 반박한다. 특히 한 주체가 전권을 갖는 방식은 발전사별로 다른 경영 여건을 고려하지 못할 수 있어 효율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지경부 전기위원회 관계자는 "그동안 발전사들이 경쟁하면서 도입 단가를 낮추려는 노력을 해 왔다"며 "지난해 남동발전이 5개사 가운데 최저 가격으로 유연탄을 도입할 수 있었던 것도 경쟁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