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수입...자급률 13%

뼈와 피부 등 치료용 인체조직의 수입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 김광호 바이오의약품정책과장은 2일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최영희 의원(민주당)이 주최한 '인체조직 이식재 관리 시스템 개선방안' 전문가 정책간담회에서 지난해 국내 인체조직의 자급률이 13%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사체로부터 채취한 뼈와 건, 인대, 피부, 뇌막 등 인체조직은 가공을 거쳐 화상환자의 드레싱 소재 등 필수 의료소재로 이용된다.

지난해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수입된 인체조직 제품 20만3천951개 가운데 국내에서 생산된 물량은 44%인 8만9천804개로 집계됐다.

그러나 국내 생산된 인체조직 제품 중 실제로 원료(사체)가 국산인 것은 2만6천120개로 자급률은 13% 수준에 그쳤다.

수입된 인체조직의 경우 제공자의 사망 당시 감염성 질병 감염여부나 위생관리 등을 파악하기 어렵다.

엄격한 사후관리를 담보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이광호 바이오의약품정책과장은 "인체조직 수입원에 대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 참석자들은 또 인체조직의 보관·운송 기준이 미비하며 감염 사고를 대비한 추적조사 기반이 미흡한 점 등을 국내 인체조직 관리의 문제점으로 꼽았다.

특히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를 책임질 기관이 없어 인체조직 원료 공급 기반도 취약하며 윤리적인 기증, 배분 절차가 확립되지 않았다고 참석자들은 지적했다.

최영희 의원은 "인체조직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시행된 지 4년6개월이 지났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전문가들이 제시한 의견을 바탕으로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tr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