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침체된 신용시장을 살리고 극심한 경기 침체에서 조기에 벗어나기 위해선 금융 위기의 해법부터 찾아야 한다는 데 경제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티머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달 금융 위기를 해결하는 위한 기본 정책과 방향을 제시했지만 위기를 벗어날 해법의 내용이 매우 애매모호하다는 이유로 시장의 신뢰를 제대로 받지 못했다.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가이트너 장관 등이 이번주내 발표할 구체적인 해법을 놓고 시장 전문가들간에는 대체로 4가지 선택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전했다.

16일 뉴스위크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금융 위기 해결책으로 선택 가능한 첫 방안은 실효성이 거의 없어 보이지만 최근 시티그룹의 이례적인 주가 상승 등을 근거로 시장 자율에 맡겨보는 것이다.

정부가 구체적인 방침이나 정책을 내놓지 않은 채 시장의 자율적인 메커니즘과 치유력을 믿고 기다리는 것인데 이는 과거의 경험에 비춰 매우 어리석은 선택으로 간주된다.

금융 위기 해법으로 점쳐지는 두번째 선택은 은행의 완전 국유화 방안이다.

정부가 영구적으로 은행을 소유하는 것인데 몇몇 연로한 사회주의 학자들이 제시하는 방책으로 보이며 역시 현실성이 부족해 보인다.

대형 은행들의 재정 상태가 계속 악화될 경우 일시적으로 정부가 인수하는 방법은 가능하지만 항구적인 국유화는 미국식 자본주의 체제하에선 더 큰 논란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세번째 선택은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실라 베어 의장 등이 제시한 민관투자펀드(PPIFs)를 운영하는 것이다.

연방정부 등이 함께 참여하는 민관 펀드를 조성해 은행의 부실 자산을 사들이는 방식인데 가이트너 장관은 펀드 규모를 1조 달러 정도로 예상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민관투자펀드를 운영할 경우 가장 큰 걸림돌은 은행 부실 자산의 가치 산정 문제다.

은행들이 자체 평가한 가격과 시장이 평가하는 가격 사이엔 여전히 큰 격차가 있기 때문에 거래가 제대로 성사될지가 관건으로 남아 있다.

네번째 선택은 `배드뱅크'라고 불리기도 했던 이른바 `과도 은행'(TRANSITIONAL BANK)을 설치하는 방안이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올해 초 `비공식' 방안으로 제시했을 때 금융계 등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으나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않다가 다시 수면위로 부상하고 있다.

뉴스위크는 "`과도 은행'은 부실 자산을 사들이고 9개월 이상 장기간 보유한 뒤 자산 가치가 올라가면 다시 파는 방식인데 여전히 부실 자산의 가치 산정 문제가 주요 변수라고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성용 특파원 ks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