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장기종합계획 마련으로 관심

해외유전개발에 밀려 위축됐던 국내 대륙붕 개발이 활성화될 수 있을지 관심거리다.

정부가 10년에 걸친 대륙붕 개발 종합계획을 마련해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기 때문이다.

25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정부는 1970년 '해저광물자원개발법'을 제정해 국내 대륙붕 탐사에 본격적으로 나섰으나 잇단 탐사 실패와 부정적인 국민 인식 등으로 해외자원개발에 비해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작년까지 국내 대륙붕에서 총 43곳을 시추해 12곳에서 가스징후, 1곳에서 석유징후를 발견했지만 그중 가스징후가 있던 4곳만 상업적 개발로 이어졌다.

1만㎢당 시추공 수도 우리나라는 1.4개로 인접국 일본 5개, 대만 5.9개에 한참 못 미친다.

국내 대륙붕 시추는 고유가 시대의 도래에 따라 정부가 해외자원개발로 눈을 돌리면서 2006년 1월 이후 맥이 끊긴 상태다.

국내 대륙붕 물리탐사의 약 20%에 해당하는 한일 대륙붕 공동개발구역(JDZ) 공동개발도 일본 측의 무관심으로 진전이 없다.

JDZ 협정 이행기구인 한일공동위원회는 1986년 제4차 회의 개최 후 활동이 끊겼다.

그러나 우리 정부가 향후 10년 동안 총 1조1천억원을 투자해 국내 대륙붕 20곳을 시추하고, 1억 배럴 이상의 신규 매장량을 확보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내놓으면서 대륙붕 개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40년 전 해저광물자원개발법이 제정된 후 처음으로 국내 대륙붕 개발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제1차 해저광물자원개발 기본계획'을 이날 확정, 발표했다.

특히 정부가 에너지 공급의 안정적 기반을 넓히기 위한 대륙붕 개발의 중요성, 해저 영토로서 대륙붕이 가지는 의미 등을 잘 인식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

강남훈 지경부 자원개발정책관은 "과거보다 자료 분석과 탐사 능력이 나아져 성공률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중국 및 일본과 대륙붕 경계지역도 국익 차원에서 공동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anfou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