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카드 처리방안이 16개 채권금융기관의 '사적화의' 에 의한 공동관리로 모아지고 있다. 일부 금융기관이 반발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다른 대안이 없는 만큼 대세는 이미 기울었다는 분석이다. LG카드 채권단은 29일 서울 팔레스호텔에서 이덕훈 우리은행장 등 채권은행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갖고 LG카드 처리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 행장과 김정태(국민),김승유(하나),신상훈(신한) 행장 등 그동안 채권단을 이끌어왔던 8개 채권은행장뿐 아니라 이달용 외환은행장 직무대행과 하영구 한미은행장이 새로 참석했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이 자리에서 10개 채권은행과 3개 생명보험사(삼성 대한 교보),3개 손해보험사(삼성 동부 LG) 등 모두 16개 채권금융기관이 참여하는 사적화의 방식의 공동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16개 채권금융기관이 자율협약을 맺어 공동으로 LG카드를 지원하고 경영정상화와 매각을 추진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은행장들은 △공동관리시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자료가 없고 △16개 채권금융기관에만 부담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는 등의 이유로 의사결정을 거절했으며 회의는 결국 아무 결론없이 난상토론으로 끝났다고 참석자는 전했다. 일부 은행장은 회의에서 "공동관리방안은 부채가 22조원인 회사의 부실을 채권액이 2조8천억원에 불과한 은행들이 다 책임지라는 것"이라며 "제2금융권 등 다른 채권자들도 공평하게 손실을 분담할 수 있도록 기업구조조정촉진법(구촉법)을 적용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은 그러나 구촉법 적용방안은 △전체 금융채권의 75% 이상 동의를 이끌어내기 어렵고 △자산담보부채권(ABS) 8조7천억원 중 상당규모를 트리거 조항에 따라 조기상환해야 하는 부담이 발생하는 등 어려움이 많다고 입장을 밝혔다. 우리은행은 또 LG카드 공동관리시 회생가능성에 대한 분석자료를 부행장 회의를 통해 제시하겠다고 각 은행에 통보했다. 하영춘·김인식 기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