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아시아 경제가 급격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역내 각국 정부는 여전히 자국 통화가치 보호 정책을 구사하고 있다고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AWSJ)이 1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이론상으로 경제가 살아나면 통화가치도 연동해 상승해야 하지만 아시아 각국 정부는 회복의 초기 단계에 있는 경제 보호와 투자 유치 목적으로 자국통화 약세를 유지하는 등 비논리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례로 지난 9월 20일 유연한 환율제를 강조한 G7(선진 7개국)의 성명 발표 이후 일본 엔화 가치가 소폭 평가절상됐으나 원화나 대만달러는 오히려 2개월전보다 가치가 더 하락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아시아 각국이 취하고 있는 자국 통화 약세 정책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 수 있을지와 인위적인 평가절하가 인플레이션이나 자산거품 현상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학에서 교편을 잡고 있는 베리 에이첸그린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평가절하를 취하기 전까지 대부분 아시아 국가들은 자국 통화 약세 정책을 고수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전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아시아가 저성장으로 자국 통화 약세라는 경기부양책이 필요한 나머지 국가들보다 절상되는 게 이치에 맞다고 덧붙였다. JP모건체이스의 제임스 말콤 전략가는 "여전히 아시아 각국의 통화가치가 낮은 편"이라고 지적하고 미국은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각국이 통화강세 정책을 취하도록 좀 더 압력을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싱가포르 소재 바클레이 캐피털의 한 관계자도 유로가 달러 약세에 대해 무기한 완충 작용을 할 수 없는 만큼 결국 아시아 통화 가치가 미국 달러 약세를 보상하기 위해 올라야 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모건스탠리의 엔디 시에 이코노미스트는 그러나 "단지 무역흑자 규모가 크다는 것만으로 경제 자체가 견실하다고 평가할 수는 없다"며 "대만과 한국은 여전히 내수침체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대만의 경우 투자가 매우 취약한 상황"이라며 "대만 정부는 투자를 더욱 위축시키는 자국통화 강세를 원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국기헌기자 penpia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