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동북아 금융허브가 되는데 중국은 경쟁자가 아니라 협력자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피터 장 중국 상하이선물거래소 수석고문은 20일 서울파이낸셜포럼(회장 김기환)과 미국 국제금융연구소(IIF) 공동주관으로 여의도 CCMM빌딩에서 열린 '금융 세계화 시대의 생존전략:금융허브로서 한국의 기회와 실천전략' 국제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장 고문은 "중국의 막대한 금융수요와 한국의 발달된 정보통신(IT)기술이 합쳐진다면 양국은 동북아 금융 중심지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에서는 중국 상하이의 부상에 대한 우려가 많지만 상하이와 한국이 협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동북아 금융산업의 위상을 한 단계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양수길 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 금융포럼 의장은 "동북아 금융허브가 되려는 한국의 비전은 매우 현실적이며 실현 가능한 전략"이라며 "이는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 의장은 특히 △한국의 경제 규모 △지정학적 위치 △금융시장 규모 △외환위기 이후의 금융구조조정 △우수한 노동인력 등은 여타 경쟁국과 비교할 때 한국이 금융허브가 되는 데 유리한 점이라고 평가했다. 양 의장은 그러나 한국이 중국 일본 등 여타 경쟁국들을 제치고 동북아 허브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금융산업의 세계화,기업환경의 개선,외국인 생활환경 개선 등 세가지 수준에서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된다고 조언했다. 금융산업의 세계화와 관련,구조조정을 가속화하고 외환규제를 완화하는 한편 금융감독 시스템을 국제적 기준에 맞게 개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양 의장은 지적했다. 또 기업환경과 관련해서는 노사관계 개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법과 원칙에 입각한 노사문제 해결,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노동자들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 등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정부의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과정에 대한 집중적인 비판이 쏟아졌다. 회의를 주재한 김기환 서울파이낸셜포럼 회장은 "정부가 금융중심지 전략을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로 하여금 담당하고 추진케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실효성 있는 금융개혁을 위해서는 현재의 동북아경제중심위원회와는 근본적으로 성격이 다른 새로운 민·관합동 위원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박상용 한국증권연구원장,민상기 서울대 교수 등도 정부는 동북아 금융허브를 위한 이렇다 할 청사진 조차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하면서 정부는 구호만 외칠 것이 아니라 서둘러 금융허브 구축을 위한 전략을 실천에 옮겨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