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개발도상국 발전을 돕기 위해 지원하는 공적개발원조(ODA)가 매우 미흡해 이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외교통상부는 지난 5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와 공동으로 '국제사회의 빈곤퇴치 노력과 한국 ODA의 역할'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 확대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6일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공적개발원조는 총 2억7천900만달러로 국민총소득(GNI)의 0.06%에 그쳤다. 이는 우리를 제외한 OECD 회원국 평균(0.23%)의 4분의 1, 유엔 권고기준(0.7%)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이를 1인당 ODA로 환산하면 5달러로 OECD 평균(63달러)보다 훨씬 적었으며 우리나라를 제외한 OECE국가 중 0DA 규모가 가장 적은 그리스(20달러)에도 훨씬 못미쳤다. 또 ODA중 무상원조의 비율이 32%로 다른 OECD 회원국(90%이상)과 비교해 매우낮은 것으로 집계됐으며, 지난 87년부터 작년까지 우리가 지원한 ODA 총액(22억5천만달러)은 우리나라가 지원받은 ODA의 18%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발도상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무역흑자가 지난 95년 17억4천만원에서 지난해 63억5천만달러로 급증하면서 전체 무역흑자의 53%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ODA확대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외교부는 지적했다. 외교부는 이처럼 미흡한 공적개발원조를 확대하기 위해 새마을운동의 소득증대사업을 개도국의 농촌 빈곤 퇴치모델로 보급하는 사업을 적극 추진해 개도국의 자립기반을 만들어주는 데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금까지 매년 200명 규모로 개도국에 파견했던 `개발봉사단'을 내년에는 700명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리처드 매닝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의장은 "한국은 개도국에 개발원조를 하는 나라 중 유일한 개도국 출신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며 "한국이 개도국의 모델로서 개도국에 대한 지원에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희선기자 hisunny@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