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의 급부상을 설명하는 시나리오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국가 주도의 경제 육성정책,첨단 외국기업 유치를 통한 기술이전 유도,대폭적인 기업 규제 완화 등이 바로 그것이다.


여기에 하나 더 추가되는 것이 "기술 뛰어넘기(leapfrogging)"라는 중국의 기술육성 전략이다.


중국의 "기술 뛰어넘기"는 예컨대 유선통신이 어느 정도 발달한 뒤 무선통신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무선통신 단계로 나아가고,VCR 단계를 거치지 않고 DVD가 바로 대중화되는 것을 말한다.


이 같은 신기술 육성 전략은 미국 일본은 물론 한국과의 기술 격차를 좁혀나가는 추진 동력이 되고 있는 동시에 신규 시장 창출을 통한 국가경제 규모의 무한 확장을 위한 밑거름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의 사례를 들지 않더라도 국가 경제를 떠받치는 원동력은 무엇보다 기술경쟁력이다.


날로 진전되는 경제 글로벌화로 세계 시장이 하나로 묶이면서 '1등 기술'이 아니면 생존 자체가 어려운 시대다.


그러나 한국의 종합적인 기술경쟁력은 아직도 턱없이 모자란다.


일본에 크게 못 미치는 가운데 중국은 이미 턱 밑까지 치고 올라온 상태다.


일본을 따라잡기도 전에 중국에 추월당할 수도 있다는 업계 관계자들의 얘기를 그냥 흘려듣지 못하는 것도 바로 이런 위기감 때문이다.


올해 초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내놓은 '한·중·일 기술경쟁력 비교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기술력은 일본에 비해 3.36년 뒤처지고 중국에 비해서는 3.08년 앞선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기술력이 일본과 대등해지는 데 4.27년 정도 걸리는데 비해 중국이 한국을 따라잡는 데는 3.76년밖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뒤따랐다.


국내 기업들이 일본을 따라잡기 전에 중국에게 추월당할 위기라는 얘기다.


업종별로는 조선 건설 등 일부 업종만이 5년 뒤에도 기술경쟁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고 정보통신 전자산업 등은 5년 뒤 우열을 가리기 힘든 격심한 경쟁관계에 빠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반해 자동차(부품 포함)산업을 비롯한 대부분의 업종은 중국에 비해 기술경쟁력을 상실할 것으로 우려됐다.


1일 열리는 제7회 신기술 실용화 촉진대회에서 정부 포상을 받는 71개 기업과 개인은 이 같은 상황에서 끊임없는 신기술 개발을 통해 '한국 경제호(號)'를 이끌고 있는 '기술 선구자'들이다.


수출의 견인차 역할은 물론 신기술 개발을 통한 수입대체로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하고 있는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윤교원 기술표준원장은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발된 기술을 상품화해야 하는데 그 동안 어려운 환경에서 개발자금의 투자와 노력으로 힘들게 개발한 기술을 사장시킨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기업이 어렵게 개발한 신기술 및 신제품의 효용성 등을 평가해 인증을 부여하는 신기술인증(NT) 우수품질인증(EM)을 더욱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개발단계부터 국제표준을 염두에 두고 개발할 수 있도록 산업지원 정책의 초점을 맞추겠다는 다짐이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