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0년 이후 33년간 근로자 임금이 1백38배나 증가한 반면 월평균 근로시간은 26시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2001년 이후 3년째 실질 임금상승률이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웃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전체 노동비용에서 생산직 근로자의 임금외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30%에 육박, 미국이나 일본을 웃도는 등 국내 기업들이 '고(高)인건비 3중고'에 시달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제조업 임금 및 근로시간 동향과 주요 특징'에 따르면 제조업 상용 근로자(10인 이상 사업체 기준)의 월평균 급여는 지난 70년 1만4천3백1원에서 올 6월에는 1백98만2백25원으로 1백38배나 높아졌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시간당 실질 임금(2000년 기준)은 연평균 7.7%씩 상승, 70년(8백40원)보다 12배 가량 불어난 1만4백원을 기록했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월평균 근로시간은 법정 근로시간 단축 등의 영향으로 2백32시간에서 2백6시간으로 26시간 감소했다. 이처럼 임금이 상승하고 근로시간은 단축된데다 최근엔 설비투자 부진현상까지 겹치면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최근 10여년간 지속적으로 하락, 2001년부터는 실질 임금상승률을 밑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71년 이후 10년간 연평균 8.3%였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2001∼2002년에는 6.1%로 둔화됐고 올 상반기에는 3.0%까지 추락했다. 반면 90년대 연평균 5.3%로 같은 기간 노동생산성 증가율(11.9%)에 훨씬 못미쳤던 시간당 실질임금 상승률은 2001년 이후 6∼7%대를 꾸준히 유지, 3년 연속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웃돌고 있다. 이와 함께 사회보험 의료ㆍ산재ㆍ고용보험 학비보조금 등 임금외 비용이 크게 늘어나 기업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노동비용 총액중 사용자가 부담하는 임금외 비용의 비중은 29.6%(2001년 기준)로 집계됐다. 이는 85년(9.7%)과 90년(12.3%)에 비해 크게 상승한 것이며 미국(20.6%) 일본(16.0%) 영국(15.5%) 대만(9.1%) 등에 비해서도 훨씬 높은 수준이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