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외국선사가 환적기지로 활용하던 부산항 이용을 올들어 잇따라 중단함으로써 부산항 수입이 400억원 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27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세계 2위의 초대형 정기선사인 MSC사가 중국에서미국 로스앤젤레스로 가는 화물의 환적기지를 부산항에서 중국 닝보항으로 옮겼다. 세계 14위의 컨테이너선사인 차이나쉬핑도 5월 중순부터 미국-부산-톈진-칭다오-부산-지중해 노선과 상하이-닝보-부산-미국 노선에서 부산항 기항을 중단해 3척의배가 부산항 이용을 포기했다. 이들 2개 선사의 이탈로 올해 부산항의 환적화물 처리량은 당초 계획보다 16만5천TEU(20피트 컨테이너)가 줄어 작년에 비해 9-15% 가량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환적컨테이너 1개를 처리하면 200달러의 항만수입이 발생하는 점을감안하면 올해 올해 부산항의 환적화물 처리수입은 당초보다 400억원 감소할 것으로보인다고 무역협회는 설명했다. 부산항은 98년 이후 연평균 30%의 환적화물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작년의 경우전체 컨테이너 처리 물량 940만TEU 가운데 환적화물 비중이 41%에 달했다. 이처럼 외국선사들이 부산항 환적을 중단하는 것은 부산항 시설이 부족해 환적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기에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됐다. 즉,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중 신선대부두를 제외한 다른 부두차 컨테이너 야적장(CY) 면적이 좁아 화물처리 공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4개 터미널의 CY 면적은 신선대부두만 65%를 유지하고 있을 뿐 자성대(60.7%), 감만(46.0%), 신감만(49.7%) 터미널은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무역협회는전했다. 또 톈진, 칭다오항의 경우 5만t급 4선석 기준으로 컨테이너 크레인을 각각 6기와 8기 보유하고 있는데 비해 부산항은 4기에 불과해 하역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중국은 풍부한 선박수요로 상하이, 톈진, 칭다오, 다롄 등 북중국 항만의 배후물량이 많아져 피더선(자선)이 아닌 모선에 의한 직항서비스 체제가 가능한 점도 부산항 이탈요인으로 꼽힌다. 중국은 또 선박수요 증가에 따라 운임도 오름세가 이어져 북미나 유럽을 오가는운임이 동북아 지역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와 함께 부산항과 경쟁하는 중국, 일본, 대만의 주요 항만들이 환적화물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는 점도 부산항을 위협하고 있다. 이런 추세를 반영하듯 올 상반기 상하이항의 컨테이너 처리량은 작년보다 35.1%증가한 520만TEU를 기록했으나 부산은 522만TEU로 15.5% 늘어나는데 그쳤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상반기 컨테이너 처리 증가율이 하반기에도 계속된다면 상하이항은 부산항을 누르고 컨테이너 항만 세계 3위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고 선전항도 부산항과 박빙의 승부를 벌일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공병설기자 kong@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