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동북아 경제중심(허브)이 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지만 한국의 기업환경에 대한 외국기업들의 시각은 여전히 냉랭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 핵위기 외에도 법인세가 높고 외국어 구사능력이 떨어지며 선진화된 법률 및 회계서비스 등 사업지원 환경이 경쟁국들에 비해 상당히 열악하다는 것이다. 유엔무역개발위원회(UNCTAD)가 23일 발표한 '2003년 세계 투자보고서(World Investment Report 2003)'에 따르면 지난 2002년 1월부터 2003년 3월까지 15개월간 다국적 기업들이 한국에 설립한 지역 및 사업본부와 공장은 7건에 그쳤다(국제펀드 및 금융회사의 자본투자는 제외). 이 기간 중 다국적기업들이 해외에 투자한 8백29건의 0.8%에 불과한 수치다. 한국의 이같은 외국기업 유치성과는 영국(1백81건) 및 미국(1백26건)과 현격한 차이를 보였을 뿐 아니라 동북아 허브 경쟁국들인 싱가포르(46건) 홍콩(44건) 중국(29건)은 물론 말레이시아(8건)에도 밀리는 수준이다. UNCTAD는 다국적기업 유치 조건으로 △국제시장 접근도 △외국어 구사 등 노동숙련도 △외국인의 현지 생활여건 △낮은 법인세 및 개인소득세 △우수한 정보통신 인프라 △선진화된 법률 회계서비스 등 사업지원 환경 △낮은 국가위험도 △고객의 유사성 등 8가지를 꼽았으며, 한국은 대부분 분야에서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법인세 인하,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등을 통해 기업환경을 개선하고 국제화에 보다 노력해야 동북아 허브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지적됐다. UNCTAD는 각국의 구체적인 다국적기업 유치현황과 FDI(외국인 직접투자) 정책 등을 담은 보고서를 오는 9월 초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이정훈 기자 lee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