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대구, 부산 등 대도시 주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고통지수가 경기, 충청, 경북 등의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 불균형이 부동산 가격상승과 소득격차 등 사회문제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지적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1일 `지역산업 육성의 성공사례와 향후과제' 보고서에서 "외환위기 이후 경제력의 수도권 집중이 심화되는 등 지역간 경제력 격차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지역간 삶의 질 격차도 심각한 문제"라고 밝혔다. 연구소가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지역별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뒤 지역생산증가율을 뺀 지역별 고통지수 산정결과 서울이 2.9로 가장 높고 대구(2.6), 부산(2.0), 전남(1.4)의 순이었다. 반면 경기는 마이너스 3.9로 가장 낮았고 충남(-2.8), 경북(-1.4), 충북(-1.1)의 순으로 낮았다. 연구소는 "지역 불균형이 부동산 가격상승과 소득격차 등 사회문제의 요인이 된다"면서 "95년을 100으로 산정한 서울의 주택가격지수는 지난달 137.3을 기록했으나 대구는 103.0, 광주는 83.3에 불과했다"고 설명했다. 소득수준을 유추할 수 있는 지방세 부담액도 올해 예산을 기준으로 서울이 1인당 83만1천원인데 비해 대구는 49만2천원, 전북은 34만1천원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수도권 집중과 지방의 침체는 산업화 이후 누적돼온 구조적 문제"라며 "현재처럼 수도권을 계속 규제한다고 해서 지역산업이 육성되지는 않고 수도권 입지규제를 완화하는 동시에 지방의 입지경쟁력을 높여서 수급불일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용규 수석연구원은 "지역의 입지경쟁력과 성장단계를 감안해 산업발전 전략을 차별화해야 한다"면서 "수도권 지역은 산업입지 관련규제를 대폭 완화해 글로벌 클러스터로 육성하고 지방은 산업거점 도시별로 전략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yej@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