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젖줄 라인강이 북해와 만나는 항구도시인 로테르담. 항만 길이가 50km에 달해 도시 전체가 거대한 부두나 다름없다. 로테르담은 유럽 물동량의 40% 이상이 거쳐가는 대표적 '허브항'이다. 지난해 이곳을 거친 화물은 총 3억1천4백60만t. 세계 최대다. 부산항의 3배를 웃돌고 싱가포르보다 30%나 많다. 이 곳을 중심으로 반경 5백km 안에 1억5천만명의 소비자가 있고 범위를 1천km까지 넓히면 이탈리아에서 스칸디나비아, 러시아에서 아일랜드에 이르기까지 3억5천만 인구가 영향권에 들어온다. 독일 함부르크, 벨기에 앤트워프, 프랑스의 르 하버 등 대형 항구들이 도전장을 내밀고 있지만 유럽의 제1관문은 역시 로테르담이다. 로테르담은 또 천혜의 항구다. 깊은 수심(17m) 덕에 어떤 대형선박도 접안할 수 있고 라인강 내륙수로를 통해 동유럽까지도 수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로테르담이 '타고난 조건'만으로 허브항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로테르담 주변에 구축된 인프라의 역할이 컸다는 얘기다. 육.철.수로가 완벽하게 교차하는 교통망은 인프라의 백미다. 항구로 반입된 화물은 5개 간선도로망을 통해 유럽전역으로 48시간내 트럭수송이 가능하다. 열차화물도 4개 철도노선을 거쳐 5백50개 터미널로 배송된다. 내륙운하는 8개국 26개 항구로 연결돼 매년 14만척의 화물선이 물건을 실어나르고 있다. 대규모 물류.유통단지는 로테르담의 소화기관이다. 항구배후에 조성된 2백50ha 규모의 광활한 유통단지(디스트리파크)에는 세계 각국의 창고시설이 들어서 있다. 선진화된 부두운영은 부산항과 광양항이 벤치마킹해야 할 첫번째 항목이다. 하역부터 이동 적재 배송에 이르는 전과정이 전산화돼 있다. 적체도 지연도 없다. 한국 회사들이 이곳을 유럽의 관문으로 삼는 첫번째 이유이기도 하다. 정대인 기자 bigman@hankyung.com